[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지난해 2000가구가 넘는 ‘메가시티’의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비대단지 아파트보다 3배가량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에도 2000가구 이상 아파트 8곳이 분양을 마쳤거나 준비하고 있는 가운데 강세를 이어갈지 주목된다.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 조감도 (자료=대우건설)
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작년 2000가구 이상 ‘메가시티’ 아파트는 총 10곳으로 6907가구 모집에 1순위 청약통장 24만1076개가 몰리며 평균 34.9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는 2000가구 미만 아파트 평균 1순위 경쟁률인 10.84대 1보다 세 배 이상 높은 수치다.
대단지 아파트가 각광받는 이유는 규모에 따른 우수한 상품성을 갖추고 지역 대표 랜드마크로 떠올라 가격 상승률도 비교적 높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른바 ‘규모의 경제’ 덕분에 아파트 유지보수 비용도 입주민 다수가 분담해서 내는 만큼 관리비 역시 소단지 대비 저렴한 편이다.
실제 부동산 시장이 좋지 않았던 지난해에도 1500가구 이상 아파트는 6.83% 상승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경기 안양에 공급된 ‘평촌엘프라우드’는 2739가구 규모 메가시티로 지난 2월 전용 59㎡가 9억5000만원에 거래돼 분양가 대비 3억원가량 프리미엄이 형성됐다.
인천 계양구 ‘힐스테이트자이계양’ 역시 2371가구 규모로 지역을 대표하고 있다. 이 단지의 전용 84㎡는 지난해 7억8000만원에 손바뀜돼 분양가 대비 3억원 비싸게 거래됐다.
신규 분양에도 관심이 높다. 올해 1월 전북 전주에 분양된 ‘더샵라비온드’는 836가구 모집에 2만1816명이 청약하면서 평균 26.10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1일 1순위 청약을 받은 경남 창원 ‘창원 메가시티 자이앤위브’도 3544개의 청약통장이 접수되며 선방했다는 평가다.
부동산인포 권일 리서치 팀장은 “2000가구 이상의 아파트는 규모가 큰 만큼 교육, 여가, 생활편의시설 등을 단지 내에 조성하기 용이하고 입주 후에는 입주민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주변 인프라 확충도 활발해 남녀노소 선호도가 높다”며 “특히 지역을 대표하는 랜드마크는 어김없이 대규모를 이루는 단지인 만큼 가치 상승 측면에서도 여력이 높다는 평가다”라고 말했다.
이에 올해 상반기 2000가구 이상 메가시티 아파트 분양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먼저 대우건설은 경기 용인 처인구 일대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를 이달 분양할 예정이다. 전용면적 59·84㎡, 총 2043가구 규모로, 기존 1단지를 포함하면 총 3724가구에 이르는 대규모 브랜드 타운을 형성하게 된다.
인천 부평구 일대에는 ‘해링턴 스퀘어 산곡역’이 분양된다. 총 2475가구 규모로 이 중 전용면적 39~96㎡ 1248가구가 일반분양 물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