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7월 가계대출 규제 강화를 앞두고 상반기 주택대출이 급증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국내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 1월 9000억원 감소했으나, 2월 4조3000억원 늘어 증가세로 전환했다. (자료=연합뉴스)

3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금융연구원 신용상 선임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서울 강남권에서 시작된 주택시장 불확실성이 추가 금리 인하 기대와 결합하면 스트레스 DSR 3단계 규제 도입 이전인 올해 상반기 중 가계대출의 시기적 쏠림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 2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4조3000억원 증가하며 반등했으며 이 중 주택담보대출이 5조원 가량을 차지했다. 이는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로 강남 3구를 중심으로 주택거래가 활발해지고 DSR 규제 강화 전 ‘막차 효과’가 나타난 결과로 분석된다.

신 연구위원은 주택거래와 가계부채 증가 사이에는 2~3개월 시차가 있어 1분기 추이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필요 시 거시건전성 규제 강화나 금리 인하 시기 조정 등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기준금리 인하는 하반기로 미뤄질 가능성이 큰 만큼 정책 방향에 대한 사전 안내도 병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신 연구위원은 거시건전성 감독과 부동산 정책을 엄격히 분리하고, 예정된 감독 대책을 차질 없이 실행할 것을 강조했다. 또한 실수요자 중심의 자금공급은 유지하되, 정책대출 쏠림과 신용대출로의 풍선효과는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는 지적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