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한국군의 독자적인 위성 정찰 체계 구축이 눈앞에 다가왔다.

한화시스템이 제작한 합성개구레이다(SAR) 탑재체를 장착한 군 정찰위성이 22일 오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 커너베럴 우주군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22일 오전 9시 48분(한국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너베럴 우주군기지에서 대한민국 정찰위성 4호기가 실린 스페이스X사의 팰컨-9 발사체가 발사되고 있다. (자료=스페이스X)

이번 위성은 군 정찰위성 사업(425 사업)의 네 번째 위성이자 세 번째 SAR 위성이다. 425 사업은 전자광학·적외선(EO·IR) 위성 1기와 SAR 위성 4기, 총 5기의 정찰위성을 확보하는 국방 전략 사업이다.

SAR 위성은 주·야간 및 악천후에도 지상 감시가 가능한 첨단 정찰 장비다. 레이다파를 이용해 지상 지형도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번 위성은 경사궤도로 지구를 돌며 한반도를 하루 4~6회 촬영한다. 이를 통해 북한의 도발 징후를 약 2시간 단위로 정밀하게 감시할 수 있게 됐다.

한화시스템은 모든 SAR 위성에 핵심 탑재체를 공급하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 탑재체는 세계 최상위 수준의 해상도로 선명한 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마지막 정찰위성은 연내 발사될 예정이다. 이 발사가 성공하면 한국군은 독립적인 위성 정찰 체계를 완성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