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최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 전체가 크게 요동쳤다. 게임 및 IT 업종도 예외는 아니다. 하드웨어(HW) 분야에 대한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됐던 가운데서 소프트웨어 역시도 간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모습이다.
10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90일간 상호 관세를 유예하고 10%의 관세만 부과한다고 밝혔다. 다만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를 125%로 인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전 국가에 대해 90일간 상호 관세를 유예한다고 발표했다. (자료=AP/연합뉴스)
앞서 그는 ▲캄보디아 49% ▲베트남 46% ▲태국 36% ▲대만 32% ▲인도 26% ▲한국 25% ▲일본 24% ▲유럽연합(EU) 20% 등 주요 교역국에 대한 상호 관세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중국의 경우 당초 34%의 상호관세를 매겼으나 보복조치를 이유로 50%를 인상했으며 기존관세 20%와 합쳐 총 105%의 관세를 부과했다.
관세 유예 조치로 한숨을 돌린 모습이지만 스마트폰과 콘솔 게임기 등 하드웨어 제조사를 중심으로 한때 긴장감이 감돌기도 했다. 중국과 베트남 등 주요 생산 거점에 높은 관세가 매겨지며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됐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전체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베트남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애플도 아이폰 생산량의 약 9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콘솔 기기 제조사인 소니와 닌텐도 모두 중국과 베트남 등 높은 관세가 부과됐던 지역을 주요 생산지로 두고 있다. 실제로 닌텐도의 경우 관세 정책에 따른 영향을 점검하기 위해 오는 6월 출시 예정인 스위치2의 미국 사전예약을 잠정 연기한 상태다.
90일간의 유예 조치가 발표됐지만 아직 뇌관은 남아있는 상태다. 주요 생산국인 중국에 대해서는 여전히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다. 또한 관세 부과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가 강한 것으로 보이는 데다 방위비 인상 등 부가적인 이슈도 연계할 것으로 관측되는 만큼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는 시각도 있다.
게임의 경우 무형 소프트웨어인 만큼 직접적인 타격은 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하드웨어에 대한 관세 부과가 결국 현실화된다면 그 영향에서 자유로울 순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콘솔 기기에 대한 관세가 가격 상승 압력으로 작용해 수요 부진까지 이어진다면 개별 타이틀의 판매량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콘솔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는 시점이라 전략 수정이 불가피해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구체적으로는 관세 리스크에 따른 불확실성이 해소되는 시점까지는 콘솔 버전 출시를 늦추고 PC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하게 될 것이라는 의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콘솔 기기의 수요가 부진할 경우 결국 독점 타이틀 등 게임의 판매량에도 타격을 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유예 조치가 발표되긴 했지만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니기에 국내 기업들도 관세 정책의 향방을 주시하며 전략을 수립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