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올해 들어 매월 중견 건설사의 법정관리 소식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충북 1위 대흥건설이 9번째로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중소 건설사 미수금은 1년간 2배 이상 증가했고 미국발 관세전쟁까지 더해지자 건설업계의 불황·‘4월 위기설’은 계속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대흥건설은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 중이라고 공시했다.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96위며 건설공사 실적 3002억7500만원을 달성해 충청북도 도내 1위를 달성했음에도 법정관리에 나서게 된 것이다.

대흥건설은 지난 2021년 ‘다해브’라는 주택 브랜드를 론칭하며 전국 건설사로 도약을 시도했다. 하지만 책임준공 약정을 맺은 전국 6곳의 생활숙박시설 프로젝트 부실 규모가 커지자 지난해부터 자금난을 겪어온 것으로 확인됐다.

대흥건설이 회생절차에 나서면서 올해 법정관리를 신청한 중견 건설사는 9곳으로 늘어났다. 1월 시공순위 58위 신동아건설을 시작으로 ▲대저건설 ▲삼부토건 ▲안강건설 ▲대우조선해양 ▲삼정기업 ▲벽산엔지니어링 ▲이화공영까지 매월 도산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중견건설사의 위기가 한동안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 브리프 3월호’에 따르면 중소건설사의 작년 3분기 미수금은 875억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상반기 321억원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해 1년 새 2.73배 급증한 것이다. 해당 보고서는 최근 2년간 대기업의 미수금은 2배 미만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의 미수금은 4배 이상 상승했다고 강조했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건설업은 이미 최악의 상황이고 현재 상황이 1년 이상 지속되면 IMF 금융위기와 글로벌금융위기에 준하는 불황이 올 가능성 높다”며 “중소 건설사 위기를 방관할 경우 건설산업은 핵심 이해관계자의 역량 상실을 야기하고 건설업 전체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다”라고 분석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발표한 2월 건설공사비지수도 131.04를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0.76% 상승했다. 미수금뿐만 아니라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자금 부담도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다행히 도널드 트럼트 미국 대통령이 개시한 주요국 25% 관세에 의한 여파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건설업계의 수입의존도는 3.4%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국의 관세정책에 반발해 여러 국가가 보복 관세에 나설 경우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심화돼 원자잿값 상승을 야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건설업계에선 건설 경기가 여전히 비관적이라고 전망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지난달 건설기업실사지수(CBSI)는 68.1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 0.7포인트 상승하긴 했으나 기준선 100을 크게 하회했다. 특히 중소기업과 중견기업의 지수는 각각 56.4와 64.5로 종합 수치보다 낮았으며 지방지수는 전월 대비 7.7% 하락한 55.9를 기록했다.

건설기업실사지수는 건설 기업에서 체감하는 경기 상황을 조사한 것으로 100 미만이면 현재 건설 경기가 비관적이라고 여기는 기업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이달 전망지수는 지난달보다 2.2포인트 개선된 70.3%로 전망하지만 부정적 비중이 높은 상황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업 위기는 취업자 수에서도 확인됐다.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건설업 취업자 수는 작년 동월 대비 18만5000명 감소했다. 11개월 연속 감소세가 지속된 것이며 감소 폭 역시 8.7%를 기록하면서 2013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컸다.

이에 건설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태로 분양 시장과 사업장이 망가진 후폭풍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면서 개선될 것이란 의견도 있으나 미국에 의한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새 정부가 전형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면 건설업의 어려움은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