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지난해 국내 정유업계의 휘발유·경유 수출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일 대한석유협회에 따르면 2024년 SK에너지·GS칼텍스·에쓰오일·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의 휘발유 수출량은 1억1189만배럴이며 경유는 2억166만배럴로 집계됐다.
휘발유와 경유 수출 실적은 관련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2년 이후 사상 최대치다. 고부가 제품인 항공유 수출량도 전년 대비 3% 증가한 8826만배럴에 달했다.
전체 석유제품 수출도 전년보다 4.8% 증가한 4억9045만배럴로 2018년에 이어 역대 2위였다. 이는 서울월드컵경기장을 약 33번 가득 채우는 물량이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원유 중 52.5%를 정제해 수출한 셈으로 원유 도입량 중 수출 비중도 최고치였다.
다만 수출량 증가에도 석유제품 수출액은 국제유가 하락 여파로 전년보다 2.9% 감소한 451억7000만달러(약 61조6000억원)로 집계됐다.
제품별 수출량 비중은 경유가 41.1%로 가장 높았다. 이어 ▲휘발유 22.8% ▲항공유 18% ▲나프타 8.1% 순이었다. 휘발유 수출은 전년보다 12.1% 늘어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중에서도 대일본 수출량이 33% 급증했다.
국가별 수출량은 ▲호주 18% ▲일본 12.9% ▲싱가포르 12.5% ▲미국 8.8% ▲중국 8.7% 순으로 일본이 싱가포르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다만 석유협회는 미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에너지·통상 정책 영향 등으로 불안정성이 높아져 수출 환경도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정유업계는 정제경쟁력을 기반으로 수출국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 수출에 주력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