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정부가 1기 신도시 내 영구 임대 주택 재건축에 본격 착수해 오는 2037년까지 총 2만1200가구의 신규 공공 주택을 공급할 방침이다.

국토교통부가 1기 신도시의 노후 영구임대 주택 1만4000가구를 재건축하고 신규 공공주택도 7200가구 추가 공급할 계획이다. (자료=연합뉴스)

2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1기 신도시인 경기 성남시 분당구와 고양시 일산, 안양시 평촌, 군포시 산본, 부천시 중동의 영구 임대 주택 1만4000가구를 대상으로 재건축을 진행할 계획이다.

분당은 ▲청솔6단지▲ 하얀6단지와 목련1단지 ▲한솔7단지가 대상이며 일산은 ▲흰돌4단지 ▲문촌7단지 ▲문촌9단지에서 재건축이 진행된다.

평촌·산본은 ▲관악 ▲가야2단지 ▲매화1단지 ▲주몽1단지, 중동은 ▲한라1단지 ▲덕유1단지가 대상으로 선정됐다.

국토부는 재건축을 통해 신규 공공주택 7200가구도 공급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기존 영구 임대 주택 재건축분 1만4000가구와 신규 공공주택 7200가구를 합한 총 2만1200가구가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이와 별도로 영구 임대 주택과 민간 아파트가 섞여 있는 단지는 주민이 희망할 경우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사업 시행자로 하는 통합 재건축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통합 재건축 단지에 대해선 영구 임대 재건축으로 나오는 물량을 공공기여로 인정해 사업성을 높이는 인센티브도 부여한다. 재건축 공사에는 민간 건설사도 참여 가능하다.

혼합 단지 내 영구 임대의 연차별 재건축 물량은 내년 중 해당 지자체가 마련할 순차 정비 방안과 정비 구역 지정 물량 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기존 거주민이 임시로 머물 주택은 1기 신도시 인근에 있는 영구 임대 주택을 활용할 예정이다. 이주는 2033년까지 차례대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