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정부가 미국 관세 정책 직격탄을 맞은 자동차 산업에 3조원 수준의 긴급 정책금융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금융당국은 5대 금융지주를 소집해 원활한 자금 공급을 강조할 계획이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주 산업경쟁력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미국 관세 충격을 먼저 받은 자동차 관계 업체들에 산업은행 등 정책금융기관을 통한 긴급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할 계획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 (자료=연합뉴스)

현재 금융당국이 자동차산업 정책금융 지원 방안과 관련해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며 지원 규모는 3조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정책금융기관(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기술신용보증기금)은 대외여건 악화에 따른 기업경영 애로 해소와 기존산업 사업재편 등 산업구조 고도화 등에 역대 최대인 248조원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달까지 예년 대비 10조원을 확대 집행하는 등 상반기 최대 60%를 집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정부는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 대응해 수출 근간인 미래차 등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은행에 5년간 최대 50조원의 첨단전략산업기금 신설을 확정했다. 국회에서 관련 산업은행법 개정안과 정부보증 동의안이 통과되면 연내 실제 지원을 개시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은 오는 7일 5대 금융지주와 정책금융기관을 소집해 실물 부문에 원활한 자금공급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당부할 계획이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5대 금융지주 회장 및 관계기관을 소집해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한다.

김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관세 충격이 큰 기업들의 장단기 자금조달 상황 등을 점검하고 자금공급을 강조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이 파악한 자동차 산업 금융권 대출이나 시장성차입(익스포져) 규모는 50조원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