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네이버 D2SF가 국내 모빌리티 스타트업과 네이버 생태계 내 다양한 협력 기회를 넓혀 나간다.

네이버 D2SF는 AI 기반 자율주행 스타트업 ‘웨어러블에이아이’에 신규 투자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네이버 D2SF 투자는 지난해 1월 창업한 웨어러블에이아이의 첫 투자 유치다. 웨어러블에이아이는 자기 지도 학습을 활용해 환경 변화 또한 스스로 학습·최적화하는 AI 기반의 자율주행 솔루션을 개발 중이다.

데이터를 클라우드가 아닌 디바이스에서 직접 처리하고 고객 수요에 맞춰 주행 지역과 경로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 고정밀 지도와 같은 인프라의 도움 없이도 즉시 주행 가능한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인 점이 특징이다.

웨어러블에이아이는 국내 1세대 자율주행 스타트업 ‘토르드라이브’의 공동창업진이 재창업한 팀이다.

자율주행 풀스택 기술을 갖추고 있다. 한국과 미국에서 기술 상용화 및 현장 적용 경험을 두루 축적한 멤버들이다.

이 경험을 토대로 웨어러블에이아이는 창업 4개월 만에 hy모빌리티, 에이텍모빌리티와 컨소시엄을 구축했다.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출국장 대상의 자율주행 운송차량 도입 사업을 수주했다. 현재 인천국제공항에서 승객 운송을 위한 실내 자율주행 차량 10대를 테스트 주행 중이며 올해 상반기 내 정식 현장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다.

최근 국제공항 및 항공사들은 승객들의 실내 자율주행 솔루션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다.

웨어러블에이아이는 이러한 시장 수요를 기반으로 국제공항을 1차 타겟으로 삼고 있다. 향후 대형 쇼핑몰, 리조트, 골프장, 캠퍼스, 산업시설 등의 실내외 자율주행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양상환 네이버 D2SF 센터장은 “자율주행 기술이 점차 다양한 공간과 산업으로 확장되고 있는 가운데 기술의 유연성과 확장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웨어러블에이아이는 뛰어난 기술력과 풍부한 현장 경험을 갖춘 팀으로 실내 및 LSV 주행 시장을 빠르게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