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혁 송재혁 사장이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 코리아 2025'에서 기조연설을 맡아 '더 나은 삶을 위한 반도체 혁신'을 주제로 발표했다.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송재혁 삼성전자 DS부문 CTO 사장이 반도체 생태계 전반의 협력과 기술 고도화 시대에 공동 대응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송 사장은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 코리아 2025'에서 기조연설을 맡아 '더 나은 삶을 위한 반도체 혁신'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그는 칩렛 기술을 예시로 들며 "칩렛을 만들기 위해서는 설비·소재 업체, 칩메이커, 디자인을 돕는 EDA 업체, 학교, 연구소, 컨소시엄, 고객 모두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I 기술 발전과 함께 더욱 중요해진 고성능 반도체에 대해 송 사장은 "AI 기술을 지탱하려면 퍼포먼스는 더 빨라져야 하고 전력은 낮춰야 하는데 이에 맞춘 반도체 기술이 필수"라며 기술 개발 난이도 상승에 따른 협력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그는 "과거 1년 걸리던 기술 개발이 지금은 2∼3년은 걸릴 정도로 난도가 높아졌다"고 덧붙였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패키지 기술과 디자인 업체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엔비디아와 같은 핵심 고객사와의 협력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최근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이 젠슨 황 엔비디아 CEO와 만나 HBM3E 개선 제품 공급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요구에 맞춘 HBM3E 8단 개선 제품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르면 올해 1분기 말부터 고객사에 양산 공급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송재혁 사장은 전날 삼성전자의 신규 사내이사로 내정됐다. 이사회 내 기술 전문성을 강화하고 반도체 사업 경쟁력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