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LG화학 배터리 활성화방안 내놨지만..ESS 화재 관련 시장은 싸늘

장원주 기자 승인 2019.10.15 14:01 의견 0
지난달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평안리 소재 풍력발전소에서 발생한 화재 현장. (자료=강원소방본부)


[한국정경신문=장원주 기자]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다. 뚜렷한 원인도 못 찾는 가운데 업계는 위기감을 느끼고 고강도 안전 대책을 내놓았지만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많다.

15일 삼성SDI 주가는 전날 ESS 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대책을 내놓았지만 이날 증시에서 장중 주가는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LG화학 역시 마친가지로 주가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전날 삼섬SDI와 LG화학이 최근 발생한 ESS 화재에 대해 고강도 방지대책을 내놨지만 시장 참여자들의 불안감을 잠재우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특히 정부 민관합동조사단에서 규명하지 못한 발화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 ESS 화재가 잇달아 발생함에 따라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전날 삼성SDI와 LG화학은 ESS 화재 관련 입장을 잇달아 내놨다. '제품에 문제는 없지만 화재 발생에 만전을 기한다'는 입장을 공히 발표했다.

삼성SDI는 지난 14일 ESS 내부에 불이 나도 자체로 진화할 수 있는 특수 소화시스템을 전면 도입하는 등 고강도 안전성 강화 조치를 내놓았다. 이를 위해 삼성SDI의 올 2분기 영업이익에 맞먹는 규모의 자금을 투입한다.

이미 설치·운영 중인 국내 1000여개의 ESS에도 새 시스템을 적용하기로 했다. 이로 인한 추가 비용은 약 1500억∼2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이 회사의 2분기 영업이익은 1573억원이었다.

LG화학도 같은 날 ESS 화재 확산 방지 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LG화학은 ESS 화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안전장치 설치를 진행 중이며 연말까지 정밀분석을 통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LG화학은 ESS 화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화재확산 방지 신제품을 준비 중이다. 신제품은 현재 국제인증을 시험 통과한 상태며, LG화학은 추가 테스트가 마무리되는 대로 관련 시스템을 적용할 방침이다.

하지만 지난 6월 민관 합동 조사에서 명확한 화재 원인을 밝히지 못한 데다 추가 화재까지 발생한 상황이어서 민간 기업이 내놓은 대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둘지 미지수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ESS는 날씨에 따라 발전량 차이가 큰 태양광·풍력발전에서 생산한 전기 혹은 값싼 심야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필수 설비다. 정부가 탈(脫)원전과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밀어붙이면서 2016년 274개였던 ESS 설비는 지난해 1490개로 늘었다.

그러나 ESS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최근 3년간 발생한 ESS 화재 25건으로 총 피해액은 382억원에 달했다. ESS 화재 25건 중 LG화학과 삼성SDI가 관련된 사고는 22건(88%)이다. LG화학 제품은 전체 25건 중 13건(52%)이 화재와 관련됐다. 피해 규모는 삼성SDI 제품이 225억원(59%)으로 가장 많았고 LG화학 제품이 124억원(33%)이었다.

정부가 5개월여 동안 조사하고도 지난 6월 화재원인을 결론내지 못하자 두 업체는 정부 발표 이후로도 화재사고가 이어지면서 불안이 커지고 비난이 높아지자 고강도 대책을 발표한 것이란 분석이다.

지난 7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ESS 화재 이슈는 뜨거운 감자였다. 무소속 이용주 의원은 "ESS 화재 사고 관련 조사 회의록을 보면 부실하기 짝이 없다"며 "발화 원인도 미상으로 나와 있는데 원인을 몰라 대책도 못 세우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자유한국당 이철규 의원은 "정부가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흠결이 가는 것을 우려해 ESS 배터리에 대한 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며 "화재 책임도 규명되지 않았는데 대기업에서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을 해주는 사례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업체 관계자는 "ESS 관련 화재는 정부 발표 이후에도 계속 발생하고 있다. 명확한 화재 발생 원인이 밝혀지지 않으면 논란은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며 "정부는 원인 규명에, 업계는 제품 하자 여부 여부에 만전을 기울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