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저축은행 업계의 양극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대형사와 중소형사에 차등화된 규제 체계를 도입하고 대형 저축은행의 영업 기반 확대를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7일 박준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축은행 규제체계 재정립 필요성 및 발전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자료=연합뉴스)

2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박준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저축은행 규제체계 재정립 필요성 및 발전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저축은행은 원래 지역과 서민 금융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됐다. 하지만 수도권 집중화로 인해 자산규모와 영업 역량에서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복수 영업구역을 보유한 대형 저축은행이 등장하면서 양극화는 더욱 심화됐다.

박 연구위원은 “복수 영업 구역을 통해 사실상 전국 단위 업무를 수행하는 저축은행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해당 저축은행의 역할을 지역 금융기관으로 한정하는 것은 무리”라며 “대형 저축은행은 영업 구역 내 신용 공여 비율 산정 시 중견기업도 포함해 영업 기반이 확대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중·저신용기업에 대한 여신을 확대하고, 건전성 관리 능력이 우수한 대형 저축은행에 정책자금 지원을 강화해 금융 공급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단일 영업구역 저축은행도 대형화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면 시장 주도적 구조조정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