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 롯데쇼핑, 현대백화점이 올해 1분기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고물가·고환율 장기화와 대내외적 불확실성의 연장으로 올 1분기 유통가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
24일 연합인포맥스가 최근 한 달 동안 보고서를 낸 7개 증권사의 컨센서스를 집계한 결과 이마트, 롯데쇼핑, 현대백화점이 올해 1분기 전년동기대비 영업이익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먼저 롯데쇼핑은 연결기준 1분기 매출은 3조4989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0.41%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1321억원으로 14.97%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롯데마트 영업이익은 오카도 물류센터, 식료품 전용 제타앱 출시 비용 등으로 3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백화점 부문 영업이익은 작년 1분기 희망퇴직과 관련된 일회성 비용으로 급감한 기저효과로 20% 이상 증가했다.
오린아 LS증권 연구원은 “롯데백화점 사업은 조기 대선 전후로 새 정부의 내수 부양책 기대감이 있고 롯데마트는 경쟁사의 기업회생절차에 따른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현대백화점은 연결기준 1분기 매출은 1조246억원, 영업이익은 979억원으로 각각 작년 동기보다 7.66%, 42.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소비 부진에 백화점 부문 영업이익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면세점 사업부의 경영효율화로 실적이 소폭 개선되고 매트리스 전문기업 지누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반등하고 있다는 기대감이 반영됐다.
신세계그룹은 이마트와 신세계간 희비가 교차할 것으로 보인다.
이마트의 1분기 연결기준 매출은 전년대비 1.04% 증가한 7조2817억원으로 예상된다. 영업이익은 1389억원으로 전년대비 3배 가까이 늘어날 전망이다.
삼성증권은 이마트가 작년에 진행한 인력 재배치와 G마켓 영업권 손상차손 반영 등 영향으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17% 상회할 것으로 예상했다.
LS증권도 이마트와 이마트에브리데이 등 통합매입과 희망퇴직 등 효과로 영업이익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신세계는 증권사 연결기준 1분기 매출은 1조764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7% 증가하지만 영업이익은 1356억원으로 16.8%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는 소비심리 부진으로 백화점과 신세계인터내셔널 등 계열사 매출은 감소세를 탈 것으로 내다봤다. 신세계백화점은 옛 제일은행 본점을 더 헤리티지로 새단장해 선보이는 등 비용 투입이 많았던 것으로 보고 있다.
편의점 업계는 소비 부진에 성장세가 둔화되는 추세다.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은 연결기준 1분기 매출은 2조7870억원, 영업이익은 437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0.83%와 40.76% 감소할 전망이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 1분기 매출은 2조294억원으로 3.87%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301억원으로 7.67%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유통시장은 작년부터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며 “향후에도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업들의 경영 효율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