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지난달 31일 공매도 재개 이후 일주일간 공매도 금지 이전보다 많은 수준의 공매도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유입을 기대했던 외국인 자금은 오히려 빠져나간 모습이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1일부터 이달 4일까지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공매도 거래금액은 6조4082억원으로 집계됐다. 일평균 1조2816억원의 거래가 이뤄진 셈이다.

공매도가 재개된 이후 일주일 동안 거래액은 늘었지만 외국인 자금은 오히려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연합뉴스)

금융당국이 공매도를 전면 금지한 2023년 11월 6일 직전 1달간 공매도 거래액은 일평균 7884억원이었다. 1년 반 만에 공매도가 재개된 이후 거래액이 약 63% 증가한 것이다.

투자자별로는 외국인이 코스피 90%, 코스닥 87% 등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기관은 코스피 9%, 코스닥 12%의 비중이었다.

시장은 공매도 재개로 롱숏 투자가 가능해지면 외국인 자금이 시장이 유입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지난 한 주간 외국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5조8625억원의 자금을 순유출했다. 코스닥에서도 6417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의 코스피 순매도 규모는 주간 기준 약 4년 7개월 만에 최대치다. 같은 기간 코스피·코스닥 지수는 같은 기간 각각 3.62%, 0.92% 하락했다.

증시 하락에도 공매도 수익률은 그리 좋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주 타겟인 이차전지주가 4일 급반등한 영향이다.

지난 2일 기준 공매도 보유잔고가 가장 많은 종목은 LG에너지솔루션이었으며 셀트리온, 에코프로비엠,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 SK하이닉스, 삼성전자가 그 뒤를 이었다.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평균단가와 4일 종가가 같아 수익률이 0%였다. 셀트리온과 에코프로비엠의 공매도 수익률은 각각 -2.47%, -7.45%였다. 포스코퓨처엠은 -6.28%였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공매도 수익률은 각각 7.93%, 4.59%였다. 공매도 상위 10개 종목의 수익률은 평균 -1.69%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