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지난달 서울 강남권 아파트 매매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강남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슈로 이들 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전세가격에 비해 크게 오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토허제 해제 사태로 강남권 단지 매매가가 급증하면서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11개월만에 최저치인 53.43%를 기록했다. (자료=연합뉴스)
6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3.52%로 집계됐다.
작년 5월 53.43%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서울 아파트의 전세가율을 끌어내린 것은 강남권으로 분석됐다.
지난달 강남구 아파트 전세가율은 40.7%다. KB국민은행이 구별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3년 4월 이후 역대 최저치다. 송파구와 강동구 역시 각각 43.1%, 50.0%를 기록해 조사 이래 가장 낮았다. 서초구는 45.4%로 지난 2023년 9월 후 1년 7개월 만에 최저다.
강남 토허제 해제와 확대 지정 반사이익을 누리는 강북 일부 지역의 전세가율도 하락했다. 성동구의 지난달 전세가율은 50.58%다. 2023년 4월을 제치고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마포구의 전세가율은 54.0%로 작년 1월 이후 가장 낮았다.
이는 강북 일부 지역의 지난달 전세가율이 전월보다 상승한 것과 대비된다.
강남권 전세가율이 역대 최저로 떨어진 것은 지난 2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청·청담동)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를 전후해 강남 지역 아파트값이 크게 오른 때문이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2월 한 달간 0.06% 올랐다. 하지만 2월 중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으로 3월 들어 0.65%로 상승폭이 뛰었다. 지난달엔 0.98%로 더 확대됐다.
전셋값도 2월 0.03%에서 4월 0.27%로 상승폭이 커졌다. 하지만 매매가에 비해서는 낮았다.
전세가율이 하락한 만큼 갭투자 수요자의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초구 반포동 공인중개업소는 "3월 말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후 전세를 끼고 있는 경우는 집을 팔 수가 없어 전셋값은 최근 약보합세를 보인다"라며 "당분간 강남 전세가율 하락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