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아파트와 빌라 간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 행보가 엇갈리는 모습이다. 아파트는 상승세가 이어지는 반명 빌라는 지속적으로 떨어진 것이다.
2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8.0%로 집계됐다. 지난 2022년 11월 시세 조사 표본을 확대 개편한 이후 최고치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역시 올해 1월 54.1%로 오르며 표본 개편 이후 가장 높았다.
아파트 전세가율 상승은 금융기관의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 여파로 매매시장이 상대적으로 침체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KB 조사 기준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55% 내리며 하락세가 지속된 반면 전셋값은 2.07% 올라 10개월째 상승세가 이어졌다.
서울은 1월 들어 매매가격이 3.11% 오른 것으로 조사됐지만 전셋값은 6.18% 오르며 2배 가까이 높은 상승폭을 보였다.
이에 비해 연립주택의 전세가율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 1월 전국과 서울의 연립주택 전세가율은 각각 69.8%, 70.1%로 표본 개편 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전세사기 후폭풍으로 빌라 전세 수요가 줄어들었고 전셋값 약세장도 지속된 영향이다.
KB 조사에서 올해 1월 전국의 연립주택 매매가격은 0.25% 올랐으나 전셋값은 0.40% 떨어졌다. 2023년 5월 이후 1년 8개월째 하락세가 이어지는 중이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과 임대사업자의 임대보증금보증 가입 요건을 강화한 영향도 있다. 빌라 매매가격이 하락한 상황에서 공시가격의 126% 수준으로 강화된 보증 가입 요건을 맞추기 위해 전세 보증금을 낮추는 임대인들이 많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