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한국 경제가 향후 5년간 잠재성장률에도 못 미치는 저성장 기조에 빠질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5일 발표한 세계경제전망(WEO)에서 한국의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73%에 그칠 것으로 예측했다.

IMF 로고 (자료=연합뉴스)

이는 한국은행이 추정한 같은 기간 잠재성장률 1.8%보다 0.07%포인트 낮은 수치다.

IMF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1.03%로 전망했다.

이후 2026년 1.45%, 2027년 2.10%, 2028년 2.11%, 2029년 1.95%로 예상했다.

특히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6.32%에서 올해 1.01%로 급락한 뒤 내년에도 1.71%에 그칠 전망이다.

이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과 글로벌 통상 불확실성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1인당 GDP는 올해 3만4,642달러로 지난해보다 4.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로 인해 1인당 GDP 4만 달러 돌파 시점은 2027년에서 2029년으로 2년 연기됐다.

반면 대만은 향후 6년간 매년 2%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한국의 1인당 GDP가 대만에 역전될 것으로 IMF는 예측했다.

글로벌 경제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상도 약화될 전망이다.

IMF는 한국의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가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0년 1.78%에서 2030년 1.53%까지 낮아질 것으로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