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건설·부동산 경기 장기 침체로 1분기 종합건설업으로 등록한 업체 수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확인됐다.

건설과 부동산 경기 침제 장기화로 올해 1분기 종합건설업 등록 업체 수는 2004년 정보 공개 이래 최저 수준인 131곳에 머물렀다. (자료=연합뉴스)

6일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KISCON)의 건설업 등록 공고에 따르면 올해 들어 3월까지 131곳이 종합건설업으로 등록 공고를 했다.

이는 1분기 기준 건설산업지식정보 시스템에 정보가 공개된 2004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2.3%, 전년 동기 대비 6.3% 각각 감소했다.

반면 건설업 폐업 공고는 올해 160건으로 집계됐다. 2011년 이후 14년 만에 가장 많은 것이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9.4%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공사비 급등과 부동산 침체 속 대내외적 변수까지 겹쳐 건설업을 새로 시작하는 사람은 줄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또 경영난을 이기지 못해 문을 닫는 건설사는 늘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새해 들어선 주요 건설 지표도 악화하고 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2월 건설 수주는 총 21조7000억원이다. 전년 동기보다 14.9% 감소한 것이다. 특히 공공부문 수주는 26.9% 줄어 민간 부문 감소 폭을 웃돌았다.

수주 감소는 올해 사회간접자본(SOC) 예산이 1조원가량 줄어 공공부문 발주가 급감한 영향으로 보인다. 또 정국 불안정과 부동산 침체 등으로 수주를 꺼리는 분위기가 확산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박철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트럼프 발 관세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수주나 투자가 경색된 상황이다"라며 "현재로는 상반기까지 건설 투자나 수주 전망이 안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