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한미 관세협상은 양국 재무장관과 통상장관들이 함께 만나는 ‘2+2’ 형식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한미 관세협상이 양국 재무장관과 통상장관이 모두 참여하는 '2+2' 형식에 이번주 진행을 목표로 추진된다. 사진은 안적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자료=연합뉴스)
2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미 정부는 오는 24∼25일경 워싱턴DC에서 한미 재무·통상 장관이 동시에 참여하는 고위급 협상을 준비하고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오전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한미 고위급 협상이 '2+2' 형식으로 열릴 수 있냐는 질문을 받았다. 이에 안 장관은 "몇 시간 내 확정돼 발표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형식이 확정되면 미국 측에선 최근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한다. 한국 측에서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여할 예정이다.
최 부총리는 미국 측 요청으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을 별도로 만나 통상 이슈를 포함한 양자 현안 논의를 계획해 왔다. 안 장관도 24일 전후로 워싱턴DC를 방문해 고위 당국자들과 미국의 대한국 관세 조정 협상에 나서는 일정을 조율하고 있었다.
최 부총리와 안 장관이 각각 별도로 협상에 나서는 방안도 추진됐다. 하지만 미국 측의 요청에 따라 재무·통상 장관이 한자리에 모이는 방식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미국의 무역 정책에 관여하는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의 참여 가능성도 함께 거론된다.
우리 정부는 무역 균형 추구와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 등을 함께 담은 '패키지'를 미국에 제안할 계획이다. 국가 맞춤형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 부담 최소화를 끌어내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