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지난해 국내 금융업계에서 인공지능(AI)을 가장 활발히 도입한 업종은 은행과 보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는 도입률은 높았지만 AI 활용 여부가 회사별로 뚜렷히 갈리는 경향을 보였으며 자산운용 및 신탁사는 도입률이 5%대로 수요가 미미했다.
24일 한국금융연구원이 ‘2024년 금융인력 기초통계 분석 및 수급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은행은 국내 21개사 중 8개사(38.1%)가 AI를 도입해 전 업종 중 가장 비율이 높았다. (자료=픽사베이)
24일 연합뉴스와 한국금융연구원이 ‘2024년 금융인력 기초통계 분석 및 수급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은행은 국내 21개사 중 8개사(38.1%)가 AI를 도입해 전 업종 중 가장 비율이 높았다.
보험사도 25개사 중 6개사(24%)가 AI를 활용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AI를 도입하지 않은 은행과 보험사 중 향후 도입 계획이 없는 곳은 각각 1개사와 5개사에 그쳤으며 대부분이 도입 의지를 보였다.
반면 증권사는 17개사 중 4개사(23.5%)가 AI를 도입했지만 미도입사 13개사 중 7개사는 향후 도입 계획이 없다 답했다. 자산운용 및 신탁사는 146개사 중 8개사(5.5%)만 AI를 활용 중이며 미도입사 138개사 중 90개사는 도입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업계에서 AI 도입률이 업종별로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현재 AI의 주요 활용 분야가 ‘고객 서비스’와 ‘리스크 관리’에 집중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챗봇 기반 고객 응대, 대출 위험도 관리, 손해사정 등이 대표적이다. 이에 따라 대규모 고객 관리를 필수로 하는 은행과 보험업계가 AI 도입을 선도하고 있다.
반면 자산운용사 등 투자 업무 분야에서는 AI 도입 열기가 낮은 편이다. 이는 보수적인 업계 문화와 함께, 투자 결정 업무를 AI로 대체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는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증권사는 소매 영업과 투자은행(IB) 등 사업 구조가 다양해 AI 수요가 회사별로 크게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 전문가는 “투자 판단 AI는 기술 외적으로 내부통제와 책임 소재 문제가 해결 과제”라며 “AI 발전과 업계 환경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