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모의평가 치르는 학생들.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이상훈 기자] 2004년 기준 중학교 3학년 학생 중 일반계 고등학교에 진학한 문·이과 학생 834명(문과 539명, 이과 295명)을 대상으로 교육투자를 비교 분석한 결과 문·이과 학생 중 이과생이 문과생보다 사교육비를 더 투자하고 자습 시간도 더 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눈길을 끈다.

17일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정책연구에 실린 '일반계 고등학교 문·이과별 교육투자 비교 분석'(저자 고은비 서울시립대 경제학 박사) 보고서에 따르면 연구진은 학생의 진학대학 소재지에 따라 교육 투자 정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2004년 기준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교육경험, 진학, 진로 등을 2015년까지 추적한 한국교육고용패널의 자료를 활용했다.

조사 결과 이과생의 사교육비는 문과생보다 연간 약 214만원 더 많았고 일주일간 자습 시간은 문과생보다 평균 6시간 정도 더 많았다.

반면 하루 수면 시간, 1주일 여가, 1주일 TV 시청 시간, 1주일 컴퓨터 이용 시간 등은 모두 이과생이 문과생보다 적었다.

하루 수면시간은 이과생이 문과생보다 1.2시간, 일주일 여가는 6.7시간, 일주일 TV 시청 시간은 1.2시간, 1주일 컴퓨터 이용 시간은 7시간 정도 더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