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바·롯바·셀트리온 대형호재”..美 생물보안법 연내 통과 불씨 살렸다

美 하원, 예산지속결의안에 생물보안법 포함 추진
금리인하 기조 타고 M&A·기술이전 활발할 듯
中 대체 경쟁 치열..국내기업, 생산 경쟁력 확보 주력

서재필 기자 승인 2024.12.16 10:10 | 최종 수정 2024.12.16 11:02 의견 0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 주도로 국방수권법에 포함되지 못한 생물보안법이 예산지속결의안 포함에 적극 언급되면서 연내 통과가 급물살을 탔다.(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수혜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미국의 생물보안법이 연내 통과할 가능성이 커졌다.

16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미국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 주도로 국방수권법에 포함되지 못한 생물보안법이 예산지속결의안 포함에 적극 언급되면서 연내 통과가 급물살을 탔다.

지난 11일 미국 상원과 하원은 8950억달러(한화 약 1279조4025억원) 규모 국방예산에 대한 정책 계획을 설정하는 2025년 국방수권법에 투표했다.

양 당의 지지하에 생물보안법 등 대중국 견제 정책들이 논의됐지만 미국 내 차기 상임위원장으로 꼽히는 랜드 폴 상원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중진 의원들의 적극 반대로 최종 포함되지 못했다.

국방수권법에 생물보안법이 포함되지 못했음에도 하원의원은 중국 견제 법안들을 포함시키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특히 생물보안법은 하원의원들 사이에서 중국제재 필수 법안으로 꼽히는 만큼 연내 통과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생물보안법은 미국인 개인 건강과 유전정보가 우려기업에 유출되어 비합법적으로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법이다. 우려기업으로 특정된 중국의 우시앱텍, 우시바이오로직스, 베이징유전체연구소(BGI) 및 그 계열사 등이 명시되어 있다.

해당 법안은 사실상 CDMO기업 우시바이오로직스와 CRO기업 우시앱텍, 유전체 기업 BGI, 의료기기기업 MGI 등 중국 바이오기업의 미국 진출을 제한하기 위한 의도로 해석된다. 실제로 우시바이오로직스는 메사추세츠 우스터에 3억 달러(한화 약 4242억6000만원)를 들여 공장 확충에 나섰지만 생물보안법 발의로 6월 중단했다.

해외 여러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을 포함한 의원들은 예산지속결의안과 같은 연내 통과되는 필수 법안에 중국제재법안 포함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예산지속결의안은 자금조달 마감일을 연기하고 예산을 2024년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한 법안으로 이달 20일까지 결정 시한을 두고 있다.

존슨 하원의장은 성명을 통해 “국방수권법안에 대한 협상 과정에 중국에 대응하고 경제적 안보를 강화하기 위한 조항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한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며 “여전히 추진력은 남아 있으며 연말 전 통과시킬 목표로 좀 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존 물레나르 하원 상임위원회 위원장 역시 “생물보안법과 해외 투자제한법과 같은 중요한 국가안보법안이 수주 내에 통과될 수 있길 바란다”고 힘을 보탰다.

내년 금리인하 기조로 미국 바이오 기업들의 자금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은 바이오 USA 2024 현장(자료=연합뉴스)

실제로 국방수권법안에 포함되지 못한 주요 법안으로는 인공지능, 컴퓨터 칩, 양자 컴퓨팅 분야 등에서 중국 기반 기업에 투자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과 생물보안법이 언급되고 있다.

미국 내에서는 생물보안법 외에도 내년 트럼프 2기 정부 주도로 기준금리 인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제약·바이오 업계 투자 심리와 M&A가 다시금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생물보안법이 통과되면 중국 CDMO 기업들의 빈자리를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롯데바이오로직스 등 국내 CDMO 기업들이 대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금리 인하로 미국 바이오기업들의 자금 조달이 원활해지면서 신약개발 경쟁력을 갖춘 국내 R&D 중심 바이오 기업들의 파이프라인 확대 및 기술이전이 늘어날 가능성도 언급된다.

실제로 유한양행이 지난 8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가 미국 FDA의 승인을 받으며 얀센바이오테크로부터 기술료 6000만달러(한화 약 804억원)을 수령하는 선례를 만들면서 미국 대형 바이오 기업과 국내 R&D 제약사와 기술이전 논의도 이전보다 더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생물보안법 발의 이후 스위스 론자의 2개의 바이오접합체 제조시설 추가 건설 계획을 알렸고 인도 바이오기업들의 미국 공장 증축, 일본 식약처의 미국 사무소 개설 등 중국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해 다른 국가들의 움직임도 활발하다”며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만큼 국내 바이오 기업들도 생산 및 R&D 경쟁력 확보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