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사이언스, 독일 IDT 지분 60% 3360억원에 인수“CDMO 사업 가속화”

서재필 기자 승인 2024.06.27 10:49 의견 0

SK바이오사이언스가 독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 그룹과 CMO(위탁생산) 및 CDMO(위탁개발생산) 전문 회사 IDT 바이오로지카(Biologika)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가 독일 제약사 IDT 바이오로지카(이하 IDT) 경영권을 지분을 인수한다.

SK바이오사이언스가 독일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 클로케 그룹과 CMO(위탁생산) 및 CDMO(위탁개발생산) 전문 회사 IDT 바이오로지카(Biologika)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독일에 설립된 100% 자회사를 통해 IDT 구주와 신주를 인수한다. 구주로는 현재 IDT 지분 40%의 대주주인 독일 투자회사 클로케 홀딩으로부터 인수한다.

클로케 그룹이 보유한 IDT 구주 일부와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되는 약 7500만유로(한화 약 1120억원)의 신주를 포함 회사 지분 60%를 약 3390억원에 취득하기로 결정했다.

주식 취득 완료 시 SK바이오사이언스는 IDT 지분 60%를 확보한 최대주주로 올라선다. 클로케 그룹 또한 IDT 지분 40%를 유지하는 동시에 약 760억원을 투자해 SK바이오사이언스 지분 1.9%를 신규 확보해 전략적 투자 파트너십을 형성할 예정이다.

결과적으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2630억원의 보유 현금으로 인수 절차를 마무리하는 셈이다.

IDT 바이오로지카는 백신 위탁생산 분야에서 글로벌 톱10 수준의 독일 기업이다. 1921년 설립된 IDT 바이오로지카는 독일과 미국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바이오 기업이다.

미국, 유럽뿐 아니라 10개 이상의 의약품 규제기관으로부터 인정받은 트랙 레코드(Track record)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정·분석법 개발과 함께 임상부터 상업 단계까지 백신·바이오 전 영역의 원액 및 완제를 생산하고 있다.

또한 15개 이상의 주요 글로벌 다국적 기업과 바이오텍, 연구기관들과 오랜 CDMO 파트너십 이력을 유지하며 탄탄한 사업기반을 다져왔다.

코로나19 백신 외에도 다양한 백신 및 바이오 의약품의 위탁생산 이력을 갖고 있는 것은 물론 미국 FDA와 EMA 승인을 획득한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 생산을 맡고 있다.

IDT는 코로나19 백신을 위탁생산하던 2022년 3억1200만 유로(약 4660억원)로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펜데믹 이후 지난해에도 약 2억 7500만 유로(약 4100억 원)의 매출을 확보하는 등 성장 안정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는 평가다. 이는 3700억원 매출을 기록한 SK바이오사이언스보다 더 많은 매출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지분 인수로 주요 제품군의 유럽,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진출의 활로를 마련하게 된다. IDT 바이오로지카의 우수한 설비를 활용해 현재 SK바이오사이언스가 보유한 다양한 파이프라인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IDT 바이오로지카를 통해 완제품 위주로 구성된 SK바이오사이언스의 주요 수출 품목들을 벌크 원액으로 확장하는 등 사업 다각화도 가능해진다. 세포유전자치료제(CGT)를 포함한 백신 외 바이오 의약품으로의 사업 확장이 가능해짐에 따라 신규 시장 진출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목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톱티어 백신회사로 성장하기 위해 독일의 최첨담 생산시설과 경쟁력 있는 바이오 인력, 강력한 고객 네트워크를 가진 IDT를 인수하기로 했다”며 “글로벌 CDMO 톱10 위상과 풍부한 트랙 레코드를 가진 IDT를 적절한 시점에 매력적인 가격에 인수하며 향후 경영 안정성과 새로운 성장을 함께 도모할 것
”이라고 전했다.

카르스텐 클로케 CEO는 “IDT 바이오로지카가 전 밸류 체인에 걸쳐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고 원료의약품(DS) 생산 및 대량 충전을 포함한 제조 역량을 높일 수 있도록 많은 투자를 해 왔다. 양사의 전문성과 상업적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보건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울리히 밸리 IDT CEO는 “SK바이오사이언스 역시 백신 개발 및 생산에 대한 폭넓은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양사가 함께 시장 입지를 더욱 넓힐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