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지난해 4분기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세계 주요국 중 하위권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역성장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모습이다.
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콜롬비아와 리투아니아를 제외한 OECD 회원국 36개국에 중국을 더한 37개국의 지난해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29위로 집계됐다.
세계 주요국 경제성장률 조사 결과 한국은 하위권에 머물렀다. (자료=연합뉴스)
지난달 5일 한은은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 잠정치 발표 당시 4분기 성장률을 0.1%라고 밝혔지만 반올림 전 실제 수치는 0.066%였다.
성장률 1위 국가는 아일랜드로 3.613%를 기록했다. 이어 ▲덴마크(1.849%) ▲튀르키예(1.688%) ▲중국(1.600%) ▲포르투갈(1.542%) 순으로 나타났다. 미국(0.607%)과 일본(0.556%)도 각각 17위와 20위로 우리나라보다 높았다.
지난해 1분기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의 성장률은 1.3%로 중국(1.5%)에 이어 세계 6위였다. 하지만 경기 부진과 건설 불황에 비상계엄 등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겹치며 하위권으로 추락했다.
올해 1분기 역시 0%대에 겨우 턱걸이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적 불안과 대규모 산불 사태 등으로 인해 내수 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데다 미국의 관세 정책 영향으로 수출에 악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은이 지난 2월 제시한 올해 1분기 성장률 전망치인 0.2%도 불확실한 상황이며 일각에서는 역성장에 대한 우려도 나오는 형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