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식 물가 인상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김제영 기자] 정부가 추석을 앞두고 식품에 이어 외식 물가 손질에 나선다. 라면·과자·빵 값 인하, 우윳값 인상 자제에 이어 올해 세 번째 물가 안정 요청이다.
외식 프랜차이즈 업계는 당장 가격 인상 계획은 없지만, 여전히 인상 요인을 내부적으로 감내하는 상황에서 인하는 어렵다고 선 긋는 상황이다.
28일 정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달 6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한훈 농식품부 차관 주재로 외식업체와 간담회를 열고, 주요 외식업체 대표와 만나 가격 인상 동향을 점검하고 물가 안정에 협조 요청을 할 예정이다.
간담회에는 신세계그룹 계열사 스타벅스커피코리아와 투썸플레이스 등 커피 전문점부터 롯데그룹 계열사 롯데리아와 맘스터치 등 버거 프랜차이즈, 교촌치킨·제너시스BBQ·bhc그룹 등 치킨 프랜차이즈, 피자·김밥 등 식품 외식업체 대표급이 참석 대상으로 알려졌다.
앞서 정부는 물가 안정 동참의 취지로 제조사에 라면 값 인하를 요구한 바 있다. 농심을 시작으로 삼양식품·오뚜기·hy 등 주요 라면업체가 잇따라 일부 제품 가격을 내렸다. 정부는 또 지난달 서울우유·매일유업 등 유업계와 만나 우윳값 인상 폭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압박에 따라 올해 식품 가격 인상 폭이 최소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정부의 간담회는 참석해 가격 인상 자제에는 동참할 수 있다는 분위기면서도 가격 인하만큼은 현실적으로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프랜차이즈 업계의 가격 조정은 가맹점을 운영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실질적인 소득과 직결된 만큼 민감하고 협의가 필요한 사안이다. 또 기업마다 각각 식품 원자재 수급 방식이 다르고, 다수의 협력사에서 물품을 납품을 받아 운영하기 때문에 수익 구조가 다르다. 메뉴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복잡하게 얽힌 만큼 쉬이 조정하기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더욱이 전반적인 물가 인상으로 식품 원자재는 물론 인건비·임대료·운영비 등 고정비도 올라 현재도 가격 인상 요인이 존재하지만, 인상 계획 없이 내부적으로 감내하고 있다고 말한다.
치킨업계 관계자는 “작년과 달리 매장에서 사용하는 가스비가 30~40% 오르고, 전기세도 1.5배 정도 올랐다. 배달의 경우 배달비는 물론 플랫폼 중개 수수료도 오른 상태”라며 “인건비는 최저임금이 1만원을 바라보고 있는데, 인력난으로 사실상 최저임금만 주고 사람을 고용하기 어렵다. 인건비는 특히 수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없는 만큼 부담이 큰 고정비다. 현재 가격 인상 요인은 본사는 물론 소상공인이 동시에 부담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버거업계 관계자는 “직영점과 가맹점 비중에 따라 기업의 수익구조가 다르다. 원자재 수급 방식도 각사마다 다른데, 수입 냉동식품의 경우 러시아 전쟁 당시 수급 자체가 안 되는 데다 비용이 오르는 변수가 있었다”며 “인건비는 최저임금이 나오면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지만, 다른 제반 비용의 경우 예측할 수가 없어 비용을 가늠하는 데도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스타벅스의 경우 전 매장이 직영점이지만, 역시 가격 인하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스타벅스는 그동안 가격 인상 요인을 감내하다 지난해 약 8년 만에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국제 커피 선물 가격이 최근 인하됐다고 하나 원두 가격은 최근 3년 동안 가격이 오르다 최근 안정화한 상태다. 더욱이 아메리카노 가격에서 커피 원두가 차지하는 비중은 5~10% 내외다.
스타벅스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가격 인상이나 인하에 대한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제조사와 프랜차이즈사의 사업 체계와 인력 구조 등은 상이하다. 프랜차이즈는 식품 생산자가 아닌 가맹점과 협력사 등 사이의 중개인 역할이라 다수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다”며 “식품 제조·협력업체의 공급가 등 인하가 선행되어야 그나마 소비자 가격 인하를 가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