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국제 유제품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유제품을 수입해 가공·판매하는 국내 식품기업들이 최근 가격 인상을 고심하고 있다.
원화 가치 하락으로 수입 단가까지 높아지는 추세라 국내 식품기업들의 원가 부담은 더 커지는 모습이다.
식품업계가 세계 유재품 가격과 환율 상승으로 인해 가격 인상을 고심 중이다. (자료=연합뉴스)
16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지난달 세계 유제품 가격 지수는 148.7로 지난 2022년 10월 이후 2년 4개월 만에 최고를 경신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3.2% 높으며 전달보다 4.0% 상승했다.
세계 유제품 가격 지수는 2014∼2016년 평균 가격을 100으로 두고 비교해 나타낸 수치다.
이 지수는 2023년 9월 112.0까지 하락했다가 수요 증가 등으로 작년 8월부터 매달 높아져 지난달 148.7까지 오른 것이다.
특히 지난달에는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우유 생산이 감소한 것이 유제품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국내 식품기업들은 원료 가격 변동 추이를 주시하면서 제품 가격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우리나라는 유제품 자급률이 44%에 불과해 치즈와 크림 등 많은 유제품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입 유제품은 원제조사의 요청에 따라 가격 조정이 이뤄진다.
최근에는 원/달러 환율도 1450원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어 유제품 수입 단가 역시 이전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이에 식품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의 유제품을 수입하고 있는데 값이 계속 오르고 환율까지 높아서 원가 압박이 크다"며 "지난 1∼2월은 힘들게 버텼지만 앞으로가 문제다"라고 우려했다.
이어 "가격이 급등한 커피나 코코아를 넣은 유제품의 경우 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