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소득이 발생하는 부동산을 소유한 미성년자의 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이세용기자] 임대소득이 창출되는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미성년자 집주인'의 수가 2400명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5세 미만 영유아도 131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3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심기준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국세청으로부터 2017년 부동산 임대소득 현황과 관련한 자료를 제출 받아 공개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부동산 임대소득을 올린 미성년자는 총 2415명이며, 임대소득 총액은 504억 1900만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성년자 집주인’ 1인이 연간 2088만원, 월 평균 174만원 정도를 부동산 임대로 벌어들이고 있는 셈이다.

미성년 임대업자와 임대수익은 매년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만 19세 미만 부동산 임대업자는 2015년 1795명에서 2016년 1891명, 2017년 2415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미성년자 부동산 소득금액도 2015년 349억 7400만 원에서 2016년 380억 7900만 원, 2017년 504억 1900만 원으로 늘었다.

특히 10세 미만의 임대업자 수와 임대소득이 크게 늘었다.

5세 미만의 영유아 임대업자는 2015년 73명에서 2017년 131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10세 미만은 같은 기간 402명에서 600명으로 늘었다.

10세 미만 임대업자의 임대소득 총액은 2017년 기준 116억 5천700만 원, 5세 미만의 경우 20억 4100만 원이었다.

심기준 의원은 "월 174만 원이면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실거래가 4억 원 상당 20평대 오피스텔에 세를 놓았을 때 받을 수 있는 수준"이라며 "미성년자 임대업자가 직접 부동산 임대사업을 운영한다기보다 절세 목적으로 부모가 이름을 올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