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카카오페이(대표 신원근)가 폰지 사기 등 관련 금융 범죄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사용자 보호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지급결제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보유 금액은 104조1000억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가상자산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범죄 노출 위험 역시 커지고 있다.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의 ‘2024 가상자산 이용실태 조사’ 결과 가상자산 보유자의 20.3%가 범죄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페이가 가상자산 악성 앱을 한 달간 7만 건 이상 탐지해 사용자 보호 역할을 했다고 밝혔다. (자료=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는 ‘앱 통합 보안 솔루션’ 서비스를 통해 최근 한 달간 7만 건 이상의 가상자산 관련 악성 앱을 탐지해 사용자에게 안내했다. 카카오페이가 감지한 악성 앱은 최근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폰지 사기 의심 업체로 지목한 악성 앱이다. 실제로 카카오페이가 지난 한 달간 탐지한 악성 앱의 80% 이상이 가상자산 폰지 사기 관련 앱으로 드러났다.
카카오페이의 ‘앱 통합 보안 솔루션’은 사용자의 잠재적인 위협을 탐지해 개인 정보 유출, 금융 정보 도용, 피싱 등의 피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는 서비스다. 이 솔루션은 안전하지 않은 환경 및 악성 앱의 위변조 시도 등 다양한 보안 위협을 사전에 감지해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특히 안드로이드 사용자의 경우, 악성 앱 발견 시 즉시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삭제 기능까지 지원한다. 또 악성 앱에 노출되기 전 ‘카카오페이 백신’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스스로 보안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이 백신 기능은 기기의 탈옥 여부, 앱 위변조, 에뮬레이터 사용, 디버깅 및 리버싱 시도 등 다양한 항목을 검사해 악의적인 공격 시도를 사전에 차단한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과 함께 새로운 형태의 금융사기 등 보안 위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악성코드 탐지 기능을 통해 사용자 보호에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금융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보안 기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