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영진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가운데)이 21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은행나무 포럼' 출범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정경신문=이진성 기자] 한국무역보험공사는 21일 8개 특별출연 은행과 산업통상자원부·금융위원회와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 대응 및 중소·중견기업 무역금융 활성화를 위한 공동협의체(은행나무포럼)를 출범했다고 이날 밝혔다.
특별출연 은행은 하나·신한·우리·KB국민·IBK기업·NH농협·BNK부산·아이엠(IM) 등이다. 무보 보증과 특별출연금(1980억원)을 기초로 총 1500개사 앞 1조2000억원의 무역금융을 공급한다. 3조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은행나무포럼(은행과 나누는 무역보험)은 미·중 무역갈등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이라는 도전과제에 직면한 수출중소·중견기업 앞 무역금융 공급 확대와 수출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출범됐다. 협의체를 통해 지속적으로 보증상품 제도개선 및 상품개발 등을 협의할 방침이다.
무보는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고강도 관세정책과 무역환경의 불확실성 증대에 맞서기 위해 대응해 왔다. 지난 3월 미 보호무역 대응 무역보험 특별우대 지원안을 내놨다. 그 다음달인 4월에는 미 관세 긴급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이번 협의체를 출범함에 따라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수출 중소기업 무역금융 지원에 보다 속도를 낼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무보는 최근 통상 리스크 대응을 위해 정부로부터 3000억원을 추가 출연받았다.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관세 대응을 위한 자금지원 뿐 아니라 방산·조선 등 중장기 해외프로젝트 금융까지 총 5조6000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우량 수입자와 계약을 체결한 기업 및 시설확충으로 일시적 재무상황이 안 좋은 기업 등도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 등을 심사해 특례보증을 통해 자금지원이 가능하다.
아울러 해외현지법인을 통한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해 매출 채권조기 현금화를 통해 운전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글로벌 매출채권보험도 지난해 10월 출시했다. 올해 해외현지법인의 유동화 자금지원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장영진 무보 사장은 "시중은행 특별출연이 원동력이 돼 수출패키지 우대금융을 향후 3조원까지 공급할 예정"이라며 "정부의 추가 출연을 바탕으로 수출기업이 자금걱정 없이 해외시장개척과 제품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중장기 금융지원까지 확대해 정부 부처와 은행권 협업을 한층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