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우리나라 성인들의 금융 이해 정도가 2년 전보다 소폭 떨어졌다. 특히 청년층과 노령층, 저소득층에서 이해력 하락이 두드러졌다.
우리나라 성인 응답자 특성별 금융이해력 현황 (자료=한국은행)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65.7점으로 2022년(66.5점)보다 소폭 하락했다. 다만 OECD 평균(2023년 기준, 62.7점)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금융이해력 항목 중 금융 지식(73.6점)과 금융 행위(64.7점) 점수는 2022년보다 낮아졌으나 금융 태도 점수는 53.7점으로 소폭 상승했다. 특히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가 78.3점에서 56.6점으로 급격히 하락해 전체 점수 하락을 이끌었다.
응답자 특성별로는 20대와 70대, 저소득층, 저학력층의 금융이해력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노후 준비와 자산운용에 관심이 많은 50~60대와 고소득층의 점수는 상승한 반면, 청년층과 노령층, 저소득층의 점수는 하락하면서 계층별 격차가 확대됐다.
금융 행위 항목에서는 평소 재무 상황 점검(43.4점)과 장기 재무 목표 설정(42.5점) 점수가 낮았고, 특히 20대의 재무 점검 점수가 2022년 55.8점에서 33.2점으로 크게 하락했다. 장기 재무 목표로는 주택구입(25.8%)이 1위를 차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 지식 부문에서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고, 금융 행위 부문에서는 재무관리 활동이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관련 부분에 대한 맞춤형 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됐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