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변동휘 기자] 두나무가 식목일을 맞아 NFT(대체불가 토큰)를 활용한 환경보호 활동에 나선다.
두나무 ESG 경영위원회는 산림 회복을 기원하는 ‘시드볼트 NFT 컬렉션 #치유의숲챌린지’를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두나무가 ‘시드볼트 NFT 컬렉션 #치유의숲챌린지’를 진행한다. (자료=두나무)
환경재단과 함께하는 ‘#치유의숲챌린지’는 미래를 위해 우리가 반드시 지켜야 할 초록의 희망과 숲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캠페인이다. 시드볼트 NFT 컬렉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생물 다양성 인식 제고 및 식물 생태계 보전을 위해 기획됐다.
챌린지는 5일 식목일부터 오는 20일까지 약 2주간 진행된다. 디지털 드로잉과 손 그림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숲을 그린 후 #치유의숲챌린지 해시태그를 달아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하면 참여할 수 있다.
베스트 작품으로 선정된 100명에게는 시드볼트 NFT 리미티드 에디션인 무궁화 핸드크림과 메가박스 영화 관람권 등 상품을 증정한다. 참여자 수만큼 두나무가 기금을 마련해 향후 시드볼트 NFT 컬렉션 시즌3 멸종위기 식물 보전지 3호 조성에 보탤 예정이다.
시드볼트 NFT 컬렉션은 두나무만의 블록체인 기술력을 활용한 대표적인 사회공헌 활동이다. NFT를 환경과 접목해 생물다양성 보호·보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에서 운영 중인 ‘백두대간 글로벌 시드볼트(종자 금고)’에 보관된 종자 이미지를 바탕으로 NFT를 제작하고 업비트 NFT를 통해 발행하는 형식으로 운영된다.
2023년 12월부터 2024년 2월까지 진행된 시드볼트 NFT 시즌1은 누적 참여 인원 1만121명을 기록했다. 조성된 기금으로는 경기도 성남시 신구대학교 식물원에 587㎡ 규모의 멸종위기 희귀·자생식물 보전지 1호를 개원했으며 총 29종의 희귀·자생식물들이 이곳에 식재됐다.
지난해 아르떼뮤지엄 부산 시드(SEED)관을 거점 삼아 진행한 시드볼트 NFT 시즌2에는 누적 참여 인원 1만6036명이 함께했다. 올해 8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보타닉 뮤지엄에 조성될 1130㎡ 규모의 보전지에는 시즌2의 메인 테마였던 무궁화 48개 품종과 39종의 희귀·자생식물이 식재된다.
송치형 두나무 ESG 경영위원장은 “‘시드볼트 NFT 컬렉션 #치유의숲챌린지’는 두나무가 그간 ‘나무’라는 키워드로 꾸준히 진행해 온 환경 ESG의 연장선”이라며 “최근 발생한 역대 최대 규모의 산림 피해에 맞서 생태계 복원을 위한 의미 있는 첫 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