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 티볼리(자료=쌍용자동차)

[한국정경신문=차상엽 기자] 쌍용자동차가 3분기 1000억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11분기 연속 적자다.

18일 쌍용차는 3분기 영업 손실이 1052억원임을 공시했다. 8364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해 7.2% 감소했다. 당기순손실도 1079억원으로 커졌다. 판매량 역시 3만1126대로 지난해 동기 대비 11.4% 감소했다.

쌍용차의 분기 영업손실이 1000억원을 넘은 것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연간손실 642억원보다 많다. 국내외 자동차 시장 수요가 둔화되면서 판매가 감소하고 판매비용이 늘어나면서 영업손실이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6월 출시한 신형 티볼리가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고 8월에 출시된 코란도 가솔린 모델 판매도 아직 부진하다. 여기에 신차 개발을 위한 투자 확대에 따른 감가상각비가 증가도 악영향을 미쳤다. 친환경차와 자율주행차 시대로 향하는데 발맞춘 투자다.

수출은 부진했지만 내수시장 점유율이 상승한 점은 다행이다. 이에 따라 올해 3분기까지 누적판매는 지난해 동기대비 0.8%만 줄었다. 수출부진을 내수시장에서 만회해 매출은 2% 증가했다. 

적자가 계속되면서 쌍용차는 자구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지난 9월 복지 축소를 포함한 경영정상화 방안에 노사가 합의해 실행을 앞두고 있다. 예병태 대표는 지난 9월부터 코란도의 해외시장 공략에 맞춰 유럽 시장을 방문중이다. 사우디아라비아 자동차제조업체와 렉스턴 수출을 위한 라이선스 계약도 체결했다. 해외 시장 공략을 위해서도 힘쓰는 모양새다.     

예병태 대표는 "신제품 출시에도 불구하고 판매가 줄고 손실이 확대됐다"며 "고강도 쇄신책을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적극적인 글로벌 판매 확대 노력을 통해 경영정상화 작업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