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지난 2019년 환매가 중단된 디스커버리펀드 사태가 경찰 수사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디스커버리펀드는 금융당국의 두 차례 걸친 조사를 받았지만 그동안 사기 등 위법 행위가 제기된 적이 없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지난 22일과 23일 이틀에 걸쳐 디스커버리펀드 주요 판매사인 하나은행과 IBK기업은행 본점, 한국투자증권과 하나금융투자 본사를 각각 압수수색했다. 장하원 디스커리자산운용 대표에 대해서는 출국 금지했다.
디스커버리펀드는 미국 소상공인 대출채권, 특수목적법인 등에 투자하는 재간접 투자 상품이다. 미국 현지 자산운용사의 법정관리 등 문제로 환매가 중단돼 개인·법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발생했다. 올해 4월 말 기준 환매가 중단된 금액은 총 2562억원이다.
기업은행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와 ‘US부동산선순위채권펀드’ 등 총 6792억원 규모로 판매해 이중 914억원이 환매 중단됐다. 하나은행은 ‘US핀테크글로벌채권펀드’를 판매해 240억원 규모가 환매 중단됐다.
이밖에 신한은행, 신한금융투자, 유안타증권, IBK투자증권, KB증권, 하나금융투자, 한국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신영증권 등에서 판매했다.
디스커버리펀드 다수의 개인·법인 투자자들의 피해가 발생했지만 상대적으로 피해규모가 컸던 라임펀드와 옵티머스펀드에 비해 주목도가 떨어졌다. 금융당국과 판매사, 투자피해자들의 형사고발도 이뤄지지 않았다.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관계자는 “판매사와 자산운용사를 고발하기 위해 시기를 조율하고 있었다”며 “금융당국의 검사결과가 발표되면 고발할 예정이었는데 검사결과가 나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은 디스커버리자산운용에 대해 지난 2019년 5월과 지난해 5월 두차례 검사를 진행했지만 검사결과를 발표하지 않았다. 윤석헌 당시 금감원장은 지난해 진행된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검사 결과 일부 불완전판매 부분은 있었지만 기준가 부풀리기, 불법 운용, 펀드 돌려막기 등 사기와 관련된 것은 없었다”고 말한 바 있다.
이후 진행된 디스커버리펀드 분쟁조정위원회와 판매사에 대한 제재심의위원회도 주로 판매사의 불완전판매 여부만을 들여다 봤다.
주요 판매사인 기업은행과 하나은행도 현 시점까지 디스커버리자산운용에 대한 고발은 검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옵티머스펀드 사태의 경우 주요 판매사인 NH투자증권이 초기에 옵티머스자산운용을 고발해 수사가 빠르게 진행된 것과 비교된다.
결국 이번 압수수색은 디스커버리펀드 환매 중단 사건과 관련해 경찰이 그동안 내사를 벌여온 결과다. 경찰은 환매중단과 관련해 장 대표의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사기와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를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요 판매사 4곳에 대한 압수수색이 진행된 만큼 수사범위는 더 넓어질 수 있다.
투자피해자들은 뒤늦게나마 디스커버리펀드 수사가 개시된 데 환영 의사를 밝혔다.
대책위 관계자는 “피해자들은 그동안 꾸준히 디스커버리펀드 각종 의혹을 제기해 왔다”며 “신속한 수사로 사기펀드 판매 전 과정에서 벌어진 문제를 밝혀달라”고 말했다.
대책위는 디스커버리 자산운용 장하원 대표와 하나은행, 기업은행이 모종의 협력을 통해 펀드 돌려막기 등 불법행위에 가담하고 자금흐름을 왜곡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장 대표 형인 장하성 현 주중대사가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재직하던 시절과 디스커버리펀드가 대규모로 판매된 시기가 겹치는 부분에 주목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전국에 퍼져있는 피해자들은 기업은행 판매직원이 ‘장하성 동생 펀드’라면서 안심시켰고 마치 펀드의 뒷배경에 청와대가 있는 것처럼 느꼈다는 증언을 수도 없이 하고 있다”며 “관련성을 분명히 들여다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하원 대표는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 겸임교수를 거쳐 2009년 디스커버리인베스트먼트를, 2016년에는 디스커버리자산운용을 설립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