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대선 레이스가 후반전에 진입한 가운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의 단일화 여부에 시선이 모이고 있다.
국민의힘에서 단일화 설득을 이어가고 있지만 이준석 후보가 완주 의사를 밝힌 만큼 순탄치만은 않아 보인다.
지난 22일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와의 단일화에 대한 거부 입장을 밝히고 있다. (자료=연합뉴스)
23일 국민의힘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사전투표 전까지 단일화 가능성은 열려 있다"며 "이준석 후보를 지지하는 100%가 김 후보로 오지는 않겠지만 단일화는 '이재명은 안 된다'는 국민적 열망을 결집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국민의힘은 '자강론' 카드도 선보였다.
윤재옥 선대위 총괄본부장은 "우선은 단일화에 매달려 있기보다는 우리 후보의 지지율을 올리는 '자강'에 비중을 두고 선거운동을 하겠다"고 당부했다.
국민의힘의 이러한 행보는 단일화하더라도 이준석 후보의 핵심 지지층인 청년층이 김 후보 지지로 돌아설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명(반이재명) 단일화' 프레임을 앞세워 이 후보의 단일화 결단을 본격적으로 압박하고 나선다는 방침이다.
윤 본부장은 "이재명 후보와의 지지율 차이를 줄여서 이준석 후보와 합치면 충분히 이길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야 협상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개혁신당은 대선 레이스 완주 의지를 피력하고 단일화에 거듭 선 그어 왔다.
이준석 후보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뒤 "노 전 대통령의 외로움과 바른 정치에 대해 많이 고민하게 됐다"며 "3당 합당을 하자는 이야기가 있을 때 주먹을 불끈 쥐고 '이의 있습니다' 외치던 노 전 대통령의 모습을 닮은 정치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단일화 요구를 '3당 합당 거부'에 비유해 거절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1차 데드라인'으로 거론된 오는 25일 투표용지 인쇄 전까지 단일화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투표용지 인쇄 이후에도 단일화 문은 열려 있다. 여론조사 공표 금지 전과 사전투표일 등을 변곡점 삼아 양측의 기싸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