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오는 7월 스트레스 DSR(총부채상환비율) 3단계 시행을 앞두고 은행권 대출 ‘막차 수요’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더 강화된 대출 규제를 피하려는 차주들이 대거 몰리면서 시중은행들은 대출 제한 조치까지 시행하는 상황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날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진행한 후 3단계 스트레스 DSR 세부 시행 방안을 발표한다.

13일 서울 시내 한 은행에 주택담보대출 상품 현수막이 붙어 있다. (자료=연합뉴스)

스트레스 DSR은 차주의 대출금리에 가산금리인 ‘스트레스 금리’를 더해 대출 한도를 산정하는 제도다. 이를 적용하면 차주가 갚아야 할 원리금(원금+이자) 규모가 늘어나고 대출 한도는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해 2월 은행권 주담대에 0.38%포인트의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하는 1단계 조치를 시행했다. 그 해 9월에는 은행권 주담대·신용대출, 2금융권 주담대에 수도권 1.2%포인트, 비수도권 0.75%포인트의 스트레스 금리를 붙이는 2단계를 적용한 바 있다.

3단계부터는 스트레스 금리 1.5%를 100% 적용하고 적용 대상을 전 금융권의 모든 가계대출로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날 세부 시행 방안을 통해 수도권과 지방의 스트레스 금리를 차등 적용하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에만 1.5%포인트 금리를 적용하고 지방은 부동산 침체 상황을 감안해 상대적으로 낮은 스트레스 금리를 적용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스트레스 DSR 3단계가 도입되면 실제 대출 금리는 변하지 않지만 대출 한도가 줄어든다. 연소득 6000만원 차주가 수도권에서 30년 만기 변동형 주담대를 받을 경우 한도가 약 1200만원(3억6400만원→3억5200만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주택 구입이나 자금이 필요한 차주들이 규제 시행 전에 서둘러 대출을 받으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스트레스 DSR 2단계 시행을 앞둔 8월 한 달 동안 은행권 가계대출은 9조2000억원 늘며 월간 증가폭이 정점을 찍은 바 있다.

올해도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시점이 가까워지면서 동일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대출 한도 축소를 우려한 차주들의 막차 수요가 쏟아지며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이 급증한 것이다.

실제로 지난 3월 1조7000억원 수준이던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은 지난달 4조8000억원 수준으로 불었다. 이달 15일까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에서만 가계대출 잔액이 3조원 가까이 늘었다. 이 추세가 이어지면 이달 총 증가액은 6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인위적인 금리 인상 등 가계대출 관리로 냉가슴을 앓았던 시중은행들은 일찌감치 관리 모드에 들어갔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4일부터 비대면 주담대 일일 접수건수를 150건으로 제한하고 있다. 대출 규제가 강화되기 전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자 대출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이다. 여기에 국민은행이 3~5월 주담대 금리를 인하하며 다른 시중은행에 비해 금리 수준이 낮아지면서 대출 수요가 일시에 몰린 것도 한 원인이다.

우리은행은 이달 16일부터 신용대출인 ‘우리 WON 갈아타기 직장인 대출’ 상품에서 우대금리(최대 0.6%포인트)를 없앴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30일 주담대 가산금리를 0.2%포인트 인상한 바 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부터 1년 가까이 대출 일일 접수량을 제한하고 있다. 안정적인 가계대출 관리 지속 및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는 차원이라는 것이 은행 측 설명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과거 2단계 도입 직전에도 대출이 급증해 관리에 어려움이 많았다”며 “오늘 발표할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방안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시장의 반응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