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물가 급등으로 편의점에서 1000원을 들고 출출한 배를 달래던 시절은 옛말이 됐다.(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최근 물가 급등으로 편의점에서 1000원을 들고 출출한 배를 달래던 시절은 옛말이 됐다.
13일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오뚜기 진라면과 스낵면 작은컵은 지난 1일부터 1000원에서 1100원이 됐다. 농심 육개장사발면과 김치사발면 작은컵도 1100원으로 100원 올랐다.
농심 신라면과 너구리, 튀김우동, 새우탕 작은컵은 1250원이 됐고 오뚜기 참깨라면 작은컵은 1400원으로 올랐다. 신라면 큰사발은 1500원이고 더레드 큰사발은 1800원이다.
삼각김밥도 가장 싼 제품이 1000원이 넘는다. GS25와 CU의 참치마요 삼각김밥 가격은 1100원이다. 이들 업체는 지난해 김값 상승 등을 이유로 삼각김밥 가격을 올렸다.
한 편의점 관계자는 13일 "삼각김밥이라면 900∼1000원 정도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지금 평균 가격대는 1500원 내외에 이른다"고 말했다.
일부 삼각김밥 제품은 2000원이 넘었고 핫바 가격은 보통 2500원 안팎이다. 과자는 오리온 포카칩·꼬북칩, 롯데웰푸드 꼬깔콘·빠다코코낫, 빙그레 꽃게랑, 농심 먹태깡·바나나킥·양파링, 해태 허니버터칩·에이스 등 1700원짜리가 많다.
초콜릿 원료인 코코아 가격 급등 이후 해태 홈런볼은 1900원으로 올랐고 롯데웰푸드 빼빼로는 최근 2000원 시대를 맞았다.
동서식품이 판매하는 오레오는 작년 말 2200원으로 200원 올랐다. 오리온 비쵸비는 3600원이며 농심켈로그가 수입 판매하는 프링글스 가격은 4000원에 이른다.
껌값도 이미 2년 전 1000원을 넘었다. 롯데웰푸드의 자일리톨, 후라보노, 쥬시후레쉬, 후레쉬민트, 스피아민트는 각각 1200원이다.
아이스크림은 빙그레 메로나, 롯데웰푸드 죠스바와 스크류바, 해태아이스크림 쌍쌍바 등이 1500원이다. 죠스바, 스크류바 등은 3년 전만 해도 절반 수준인 800원이었다.
국민 피로 회복제 박카스는 지난해 편의점에서 100원 올라 1000원이 됐으며 비타500원은 최근 1100원으로 인상됐다.
지난해 가격이 오른 코카콜라와 칠성사이다는 250㎖짜리가 각각 1700원이고 350㎖ 제품은 2100원이다.
캔 커피 중 가장 저렴한 롯데칠성음료 레쓰비는 1200원이다.
생수는 1∼2위인 제주개발공사 삼다수와 롯데칠성 아이시스가 2023년 1100원으로 뛰었고, 농심 백산수는 지난해 말 1000원으로 올랐다.
오비맥주 카스 355㎖는 이달에 2500원으로 250원 인상됐다. 소주는 하이트진로 참이슬과 롯데칠성 처음처럼이 나란히 1900원이다.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이 많이 올랐고 환율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커져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