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경우 주택 가격이 0.4% 하락할 것으로 분석했다.

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한국형 대규모 준구조 거시경제모형 개발 결과’ 보고서에서 최근 국내외 금융·경제 여건을 더 빠르고 유연하게 반영할 수 있는 거시경제 분석·전망 모형(BOK-LOOK)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자료=연합뉴스)

이번 모형 개발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지시에 따라 2023년 하반기 시작돼 약 1년 반 동안 진행됐다.

새 모형은 한국의 ‘소규모 개방경제’ 특성을 반영해 대외 교역권을 미국, 중국, 유로, 신흥 아시아, 일본 등으로 세분화했다. 또한 금융위기 이후 대내외 장기금리 동조화 경향이 강화된 점을 반영해 미국 장기 금리 변화가 국내 시장금리, 거시경제, 통화정책에 미치는 파급 효과 분석도 강화했다.

보고서는 주택가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비율 등 금융 부문 데이터도 주요 변수로 반영했다. 이 모형을 통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경우 비용 증가와 함께 소비·투자가 위축되면서 GDP 갭(실질GDP-잠재GDP)이 최대 0.07%포인트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은 시차를 두고 최대 0.05%포인트 낮아지고 주택 가격은 많게는 0.4%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가계부채도 약 5조1000억원 감소해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최대 0.3%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분석됐다.

반대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하락할 경우 반대 방향의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한은은 경제 모형의 개선·보완 작업을 통해 전망 시스템의 고도화와 통화정책체계 선진화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