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완전 민영화’ 진입..보험사·증권사 인수로 종합금융그룹 재건 나선다

예금보험공사 잔여지분 매각 작업 완료
회사 경영진·과점주주 만으로 이사진 구성
증권·보험사 등 비은행 포트폴리오 강화 전망
내부등급법 최종 승인..2조원 실탄 확보

윤성균 기자 승인 2021.12.10 10:51 의견 0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 [자료=우리금융그룹]

[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금융지주 잔여지분 매각 작업이 완료되면서 우리금융은 완전 민영화 길을 걷게 됐다. 숙원이었던 종합금융그룹 재건 작업에도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전날 우리금융 주식 9.33%(6794만1483주)를 낙찰자로 선정된 5개사에 각각 양도했다.

앞서 금융위원회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지난달 22일 우리금융 잔여지분 매각을 위한 입찰에서 유진PE(4%), KTB자산운용(2.33%), 얼라인파트너스컨소시엄(1%), 두나무(1%), 우리금융지주 우리사주조합(1%) 등 5곳을 낙찰자로 선정했다.

예보의 지분율은 15.13%에서 5.8%로 떨어지면서 최대 주주 지위와 비상임이사 선임권을 상실했다. 예보 추천 비상임이사는 내년 3월 임기가 만료되면 이사진에서 제외된다.

이후 우리금융 이사진은 회사 경영진과 과점주주가 추천한 사외이사들로만 구성된다. 이번 매각으로 사실상 ‘완전 민영화’를 달성했다고 표현하는 이유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완전 민영화로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맞았다”며 “디지털 시대 변화를 선도하며 본격적인 종합금융그룹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목표는 '종합금융그룹' 재건

완전 민영화의 길로 들어선 우리금융의 제1 목표는 종합금융그룹 재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우리금융은 2001년 한빛은행, 평화은행, 경남은행, 광주은행, 하나로종합금융 등이 하나로 합친 국내 첫 금융지주사로 출범했다. 이후 공적자금 회수 과정에서 자회사들이 뿔뿔이 흩어지면서 지주사 의미를 상실해 우리은행에 흡수합병됐다.

우리금융은 2019년 과점주주 체제로 재출범하면서 비은행 계열사 확보에 나섰다. 공격적인 인수·합병(M&A) 전략으로 우리자산운용(옛 동양자산운용), 우리글로벌자산운용(옛 ABL글로벌 자산운용), 우리자산신탁(옛 국제자산신탁), 우리금융캐피탈(옛 아주캐피탈), 우리금융저축은행(옛 아주저축은행)을 자회사로 편입했다.

그럼에도 금융지주의 비은행 핵심 계열사인 보험사와 증권사가 빠져 있어 한계로 지적된다. 실제로 우리금융의 비은행 부문 순익 비중은 17.4%에 불과하다. KB금융과 신한금융의 비은행 순익 비중이 각각 44.5%, 43.5%인 것과 비교된다.

이번 민영화로 취약점인 보험·증권사 인수에 앞서 풀어야 했던 제반 상황은 해결됐다. 대형 M&A에 민감한 정부 입김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다.

■ 최소 2조원 실탄 확보

지난달 내부등급법 최종승인을 획득하면서 투자 여력도 갖췄다. 내부등급법은 자체적으로 마련한 신용평가 시스템으로 위험가중자산을 산출하도록 하는 제도로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BIS)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증권업계에서는 우리금융이 내부등급법 도입으로 2조원의 추가 출자 여력을 확보했고 위험가중자산 기준 20조원 이상을 추가로 쓸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정태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우리금융의 인수 대상 증권사의 자본 규모는 약 1조원에서 2조원으로 예상한다”며 “내부등급법 2단계 통과로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위험가중자산 규모가 약 20조원에 이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증권사가 보통 10배의 레버리지를 사용하고 증권사의 자산이 위험가중치 100%로 가산된다는 보수적인 가정을 적용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더 큰 규모의 자금 집행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성욱 우리금융 최고재무책임자(CFO)도 3분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은행과 가장 시너지가 많이 날 수 있는 증권사 매물이 나오면 가장 먼저 인수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중형 증권사 정도는 무리 없이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