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한 성과급 달라"..SK하이닉스 이어 삼성·LG서도 내부 불만 확산

조승예 기자 승인 2021.02.06 09:29 의견 1
지난 1일 SK하이닉스 M16 준공식에서 SK하이닉스 노조 조합원들이 성과급 관련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자료=노조원 우종일 씨 페이스북]

[한국정경신문=조승예 기자] SK하이닉스로부터 시작된 성과급 논란이 삼성, LG 등 다른 대기업까지 번지면서 사회적 관심사로 떠올랐다. 업계에서는 올해 유독 성과급 논란이 확산된 배경 중 하나로 공정성과 실리를 중시하는 MZ세대(1980년대 후반~2000년대에 태어난 세대)의 특성을 꼽는다. 이 때문에 향후 보상 체계 관리와 사내 소통이 기업들에 중요한 경영 과제로 급부상할 전망이다.

■ SK그룹 성과급 논란 확산..하이닉스 이어 SKT도

6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 노동조합은 최근 전환희 위원장 명의로 박정호 CEO에게 성과급에 대한 우려를 담은 서한을 보냈다.

SK그룹 핵심 계열사인 SK하이닉스에서 발생한 성과급 논란이 이번에는 또 다른 주력 업체 SK텔레콤으로 번진 것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하이닉스의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연봉 반납을 선언했음에도 오히려 그룹 전체로 확산되는 분위기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 말 실적 초과에 대한 성과급인 2020년분 초과이익배분금(PS)을 연봉의 20%(기본급의 400%)로 지급한다고 공지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2019년 실적 부진으로 지난해 초 PS를 못 주고 대신 기본급의 400%에 해당하는 '미래 성장 특별 기여금'을 줬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 비대면 수요 증가로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84% 증가한 5조원을 달성했음에도 특별 기여금과 비슷한 수준에 그치자 문제가 됐다.

특히, SK하이닉스 입사 4년차 직원이 이석희 사장을 포함한 전 구성원들에게 공개적으로 항의 이메일을 보낸 것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불만이 쏟아져 나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1일 '연봉 반납'을 선언하고 이석희 사장이 2일 사과를 표명하는 이메일을 전 직원에 보냈지만 논란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직원들은 성과급 산정 지표로 삼는 'EVA'(Economic Value Added·경제적 부가가치)'를 공개하라고 요구했으나 사측은 영업 기밀에 해당해 공개할 수 없다고 거부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삼성전자, 마이크론 등 경쟁사로 집단 이직 움직임이 일어나는 등 동요가 심각해지자 SK하이닉스 사측은 물러섰다.

SK하이닉스는 지난 4일 노사 협의를 통해 EVA를 폐지하고 성과급을 영업이익과 연동하기로 했다. 또 우리사주를 발행해 기본급 200%에 해당하는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고, 사내 복지포인트 300만 포인트를 지급하기로 노사가 합의했다.

노사 합의를 기점으로 SK하이닉스 성과급 논란은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었지만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번 합의 주체는 회사와 한국노총 산하 생산직 노조로, 기술 사무직 직원들로 구성된 민주노총 소속 노조는 정식 교섭단체로 인정받지 못해 참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대졸 공채 직원을 뜻하는 기술 사무직 측에서는 집단 소송을 검토하는 등 반발이 여전히 이어진다. 전체 임직원에게 문제제기 메일을 보낸 저연차 직원도 기술 사무직이며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등에서는 경쟁사로 이직하겠다는 동요가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에 이어 SK텔레콤 노조도 전년보다 20% 정도 줄어든 지난해분 성과급에 대해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박정호 사장이 직원들과 소통에 나서고 설 명절용 사내 포인트 300만 포인트를 지급했으나 노조는 임시방편이라며 반발을 이어가고 있다.

■ 삼성·LG 직원들도 보상 요구하며 불만 쏟아내

삼성전자에서도 성과급에 대한 갑론을박이 한창이다. 삼성전자의 경우 타 기업들과 비교해 액수가 많고 올해는 SK하이닉스가 워낙 부각되다 보니 상대적으로 갈등이 덜해 보일 뿐이라는 전언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반도체 사업 담당 DS부문은 연봉의 47%, 스마트폰 담당 IM 부문은 50%, 소비자 가전(CE) 부문에 속한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50%, 생활가전사업부는 37% 등으로 성과급을 지급한다고 공지했다.

지난해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올려 전사 실적을 이끈 DS 부문 직원들은 합당한 보상을 받지 못했다는 반응이다. 가전 부문 직원들도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냈는데 차별받고 있다는 목소리다.

삼성디스플레이의 경우 OPI 지급률이 12%로 책정되자 삼성전자 TV 담당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지급률 50%)와 비교했을때 너무 적다는 불만이 나왔다.

LG그룹에서는 LG화학에서 최근 분사한 LG에너지솔루션 내부에서 불만이 나오고 있다.

LG화학 석유화학 부문은 기본급의 최대 400%, 생명과학 부문은 300%, 전지 사업 담당 LG에너지솔루션은 200%대 성과급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에너지솔루션 직원들이 배터리 부문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낸 것에 비해 보상이 타 사업 부문에 비해 적다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2019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연간 적자를 보며 성과급을 지급하지 못했다. 대신 지난해 3·4분기에 연속 흑자를 거두고 적자 폭을 줄인 데 대한 포상 차원에서 고정급의 50% 수준으로 격려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LG전자는 이달 중 지난해분 성과급을 결정해 공지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올해 유독 성과급 논란이 커진 배경 중 하나로 공정성과 실리를 중시하는 MZ세대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

회사를 '평생 직장'으로 여기지 않기 때문에 실리나 원칙에 어긋난다고 생각하면 참지 않고 명확하게 불만을 표시한다는 것이다.

또한 사내 게시판,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직장인 커뮤니티 등이 직장인들이 의견을 표현하는 채널이 다양해지고 외부로 빠르게 전파되며 관심도를 키웠다.

기업들은 회사의 투자 계획 등 중요 경영 기밀과 맞물린 성과급 정보가 공개되는 것에 대해 부담을 토로하지만 올해 논란을 계기로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고 있다.

대기업 관계자는 "단순히 액수뿐만 아니라 보상 체계와 기준, 투명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커지고 있다"며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정보를 사전에 제공하고 소통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