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임윤희 기자]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조선업 재건에 드라이브를 걸면서 한국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회가 열리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19일 류민철 한국해양대 교수에게 의뢰해 발간한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2037년까지 상선과 LNG 운반선, 해군 군함 등 최대 448척의 선박을 발주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와오션션 필리조선소 전경 (자료=한화)

보고서는 미국의 선박 도입 계획에 맞춰 한국 조선업계가 분야별 맞춤 전략을 마련해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윈윈' 전략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중형 상선, LNG 운반선, 해군 함정 등 분야별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지난달 발의된 '조선 및 항만 인프라법'을 통해 국적 전략상선단을 250척으로 확충했다.

이어 2047년까지 LNG 수출 화물의 15%를 자국 건조 선박으로 운송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미국 해군은 향후 30년간 총 364척을 건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류민철 교수는 보고서에서 "국내 조선업계가 미국 현지 사업을 추진할 때 인력과 공급망 저변을 확보하는 전략을 미국과 함께 마련하고 미국의 지원 정책이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양국의 지속적인 협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