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오는 9월 예금보호한도가 1억원으로 상향되면서 은행-비은행간 수신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제 신용평가사 S&P 글로벌 레이팅스는 한국의 예금보호한도 상향 조치가 은행 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고할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향후 비은행 예금취급기관과의 경쟁 심화 가능성을 제기했다.

15일 국제 신용평가사 S&P 글로벌 레이팅스가 한국의 예금보호한도 상향 조치가 은행 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고할 것으로 평가했다. (자료=연합뉴스)

금융위원회는 오는 9월부터 예금보호한도를 현행 5000만원에서 1억원으로 두 배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는 은행·저축은행 등 예금보험공사 부보금융회사뿐 아니라 신협·농협·수협·산림조합·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S&P는 이번 조치로 한국의 소매예금 기반이 강화되고 예금 인출 사태(뱅크런) 가능성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향후 1~2년 내에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으로 대거 이동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면서 “비은행 예금 취급기관은 여전히 자산 건전성 회복에 집중하고 있으며 자금조달 수요도 낮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은행과 비은행 예금취급기관 간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 차이가 평균 약 30bp(0.3%포인트)로, 2020년 약 60bp 대비 크게 축소된 상황이다. 고객들이 자금을 이동할 유인이 충분치 않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S&P는 “향후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이 본격적인 자산 성장에 나설 경우 예금 수신 경쟁이 심화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특히 상호금융기관은 전체 예금취급기관 예금의 약 25%를 차지하는 상당한 규모로 잠재적 경쟁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S&P는 금융당국이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고위험 대출자산 비중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 성장과 리스크 선호도를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