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SBI저축은행이 교보생명에 매각되는 데 이어 OK저축은행도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추진하면서 저축은행 업계 판도가 변화하고 있다.
일각에선 인수·합병(M&A)과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교보생명의 SBI저축은행 인수와 OK금융그룹의 상상인저축은행 인수 행보에 저축은행업계 판도가 재편되고 있다. (자료=저축은행중앙회)
6일 저축은행업권에 따르면 교보생명은 SBI저축은행을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OK금융그룹은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놓고 물밑 협상을 진행 중이다.
SBI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총자산 14조289억원, 자본총계 1조8995억원으로 저축은행업계 1위를 차지했다. 교보생명을 대주주로 맞이하는 만큼 고객 다변화와 여신 규모 확대 등을 노릴 것으로 전망된다.
자산 규모 2위 OK저축은행을 보유한 OK금융그룹은 상상인저축은행 인수를 통한 영업권 확대를 노리고 있다. 상상인저축은행은 경기·인천 영업권을 가졌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상상인 측에서는 2000억원 수준을 원하지만 OK금융 쪽에서는 1000억원 아래까지 제시했다는 이야기가 있다"며 "자산 부실 정도 등을 놓고 가격 이견이 상당해 끝까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평가했다.
하위권 저축은행의 M&A도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하위권은 여신 규모가 작을 뿐 아니라 연체율도 높아지고 있어 구조조정 압력이 계속 커져왔다.
문제는 매물이 쌓이는 속도에 비해 아직 매수세는 위축돼 있다는 점이다. 이에 업계에서는 적극적인 자율 구조조정을 위해 추가적인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완전 자율' M&A를 허용해 대형 저축은행이 부실 소형 업체를 인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M&A 규제 추가 완화 가능성에는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결국 서울·수도권 매물에만 관심이 있지 지방은행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상황이다"라며 "저축은행 사태 기억이 있는데도 소수 은행으로만 M&A가 집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