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 ‘가입폭주’에 은행권 당혹..정부 예상 7.6배 초과

윤성균 기자 승인 2022.03.06 13:35 의견 0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 비대면(앱)·대면(창구) 창구를 통해 지난달 21일부터 주말을 제외하고 열흘 간 청년희망적금 신청을 받은 결과 약 290만명이 가입했다.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열흘 간 진행된 청년희망적금에 가입자 290만명이 몰렸다. 이는 당초 정부 예상의 7배가 넘는 규모로 이에 따른 추가 비용 등 수습의 부담은 사실상 은행들이 떠안게 됐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 비대면(앱)·대면(창구) 창구를 통해 지난달 21일부터 주말을 제외하고 열흘 간 청년희망적금 신청을 받은 결과 약 290만명이 가입했다.

가입했다가 바로 해지한 계좌를 제외하고 4일 오후 6시 마감 시한 이후까지 살아남은 계좌(활동계좌)만 집계한 수치다.

이는 정부가 당초 예상한 가입 지원자 약 38만명의 7.6배에 이르는 규모다.

청년희망적금은 만기까지 납입하는 경우 시중이자에 더해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예산으로 지원)하는 상품이다. 일반 과세형 적금 상품 기준으로 10% 안팎의 금리를 받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과열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특히 첫 가입 신청이 시작된 지난달 21일에는 가입 신청이 쇄도하면서 일부 은행의 앱에서 접속 지연이 발생하기도 했다. 한도 소진으로 가입이 조기마감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 청년층의 가입 신청이 폭증했기 때문이다.

결국 정부는 신청 마감일인 지난 4일까지 접수를 마친 신청자 가운데 가입 요건을 충족한 경우 모두 적금에 가입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했다.

아울러 지난해 중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청년을 배려해 오는 7월께 청년희망적금 가입을 재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수요 예측 실패한 원인으로 부동산·주식 등 자산시장 부진에 따라 예·적금 등에 돈이 몰리는 자금 흐름 변화를 꼽았다.

고승범 금융위원장은 “작년에는 (투자의 관심이) 부동산, 주식 시장 등에 쏠려 있는 상황이었지만 최근 금융시장 여건이 변하면서 이런 쪽(은행 예·적금)으로 관심이 다시 돌아오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예측이 빗나가면서 이후 대상 확대 등 수습 과정도 매끄럽지 못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21일 가입 신청이 시작되기 직전까지만 해도 예측 수요에 따라 당국이 각 은행에 당일 가입 할당량을 배분해주면 선착으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날 오전 가입신청이 시작하자마자 일부 은행 앱에 접속이 어려울 정도로 신청이 몰리자 금융당국으로부터 ‘일단 오늘 신청 건은 다 받으라’는 지침이 내려온 것으로 전해졌다.

신청 이틀째 4일까지 신청자 모두 가입을 받겠다는 당국의 공식 입장이 발표됐지만 은행권과 구체적으로 협의하거나 동의를 얻는 절차는 따로 없었다.

은행 입장에서는 청년희망적금이 팔수록 손해가 나는 상품이기 때문에 별도 동의와 협의 과정이 없었던 것은 문제 소지가 있다.

청년희망적금의 금리는 기본금리 5.0%에 은행별로 최대 1.0%포인트(p)의 우대금리를 더해 결정된다. 따라서 최저 5.0%, 최고 6.0%의 금리가 적용되는데 이는 현재 아무리 높아야 3% 안팎인 일반 예·적금 금리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은행권 대출금리가 평균 약 4% 정도인데 적금에 6.0%의 금리를 주고 조달하면 당연히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사회공헌 차원에서 청년희망적금 사업 참여를 결정한 것인데 가입 인원이 이렇게 당초 계획보다 많이 늘어나면 은행도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다만 “은행권에서는 공익사업이라는 점 가입 대상인 젊은 고객(19∼34세)을 신규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계속 협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