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김, 바이든의 미 대북특별대표로 지명..한국계 '북핵통'

김제영 기자 승인 2021.05.22 14:01 의견 0
미 대북특별대표 지명된 성 김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김제영 기자]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대북특별대표로 지명된 한국계 성 김(61)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은 6자회담 수석대표를 지낸 '북핵통'이다.

김 대행은 버락 오바마·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에서 대북외교에 깊이 관여해왔다. 김 대행이 실용적 대북 접근에 중점을 두는 바이든 행정부에서 북한과의 장기 교착을 타개할 방안을 모색해낼지 이목이 집중된다. 한국 정부 입장에서도 희소식이다.

21일(현지시간) 문재인 대통령과 백악관 정상회담을 마친 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모두발언 중 김 대행의 대북특별대표 낙점을 깜짝 발표했다.

그는 김 대행을 깊은 정책적 전문성을 지닌 외교관으로 소개하며 잠시 자리에서 일어나 인사를 하도록 했다.

김 대행은 인도네시아 대사로 재직하다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함께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으로 일 해왔다. 미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깊숙이 관여해온 인사다.

그는 2008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미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를 지냈다. 이어 2014년 10월까지 주한미국대사를 역임했다. 2016년 11월까지 대북정책특별대표를 맡다가 필리핀 대사로 옮겼다.

부시 전 행정부·오바마 전 행정부를 거쳐 미국의 대북정책을 실무차원에서 총괄해온 셈이다.

김 대행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정상외교를 시도할 때도 큰 역할을 했다.

필리핀 대사로 재직하면서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을 맞이했다. 회담 전날까지 최선희 당시 북한 외무성 부상과 합의문을 조율하는 등 북미대화의 진척 과정에 참여했다. 2018년 10월엔 마이크 폼페이오 당시 국무장관과 평양을 방문하는 등 후속 과정에도 관여했다.

그는 사실상 미 행정부 대북정책의 역사와 북한의 협상패턴을 꿰뚫고 있는 셈이다. 바이든 대통령도 김 대행의 깊은 정책적 전문성을 거론한 것도 이 때문이다.

문 대통령도 이날 공동회견에서 "미국이 북한과 대화를 통한 외교를 하고 이미 대화의 준비가 돼 있다는 강한 의지 표명이라고 본다"며 "한반도 문제에 전문성이 탁월한 분이 임명돼 기대가 크다"고 치켜세웠다.

김 대행의 직책명은 대북특별대표(Special Envoy for the DPRK)다. 북한의 정식 국호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문 약어인 'DPRK'가 포함됐다.

통상 북한을 지칭하는 'North Korea' 대신 'DPRK'를 직책에 명기했다. 협상 상대로서의 북한에 대한 존중을 표현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트럼프 전 행정부에서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이 겸임한 대북특별대표는 직책명에 DPRK 대신 'North Korea'가 들어갔다.

김 대행의 대북특별대표 발탁은 한국 정부에도 희소식이다.

대북협상 과정에서 셀 수 없이 소통을 진행했고 한국의 입장을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어에도 능한 인물이라 한미 간 대북정책 조율이 한층 원활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미국의 대북정책을 총괄하는 자리이기 때문에 꼭 한국 정부에 좋은 영향을 주기는 어렵다는 지적도 있다.

뚜렷한 이목구비로 '외교가의 조지 클루니'라는 별명도 갖고 있다. 필리핀 대사로 부임한 2016년 11월 당시 국무장관이었던 존 케리가 "외교가의 조지 클루니라고 불리는 점을 감안하면 겸손함이 매우 인상적"이라며 치켜세우기도 했다.

김 대행은 서울 태생으로 1970년대 중반 부친을 따라 미국에 이민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을 졸업하고 로욜라 로스쿨과 런던 정경대(LSE)에서 법학석사 학위를 받아 로스앤젤레스에서 검사로서 공직생활을 시작했다.

1988년 외교관으로 이직해 2002∼2006년 주한 미 대사관 정무참사관을, 2006∼2008년 국무부 한국과장을 지냈다.

저작권자 <지식과 문화가 있는 뉴스> ⓒ한국정경신문 | 상업적 용도로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