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를 이용한 가구주 비중이 4년 만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이정화 기자] 은행과 저축은행 등에서 돈을 빌리지 못해 대부업체를 이용한 가구주 비중이 4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했다.
10일 한국은행·통계청·금융감독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신용대출 가구주 중 대부업체 등 '기타 기관 등'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9%로 작년(6.9%)보다 1.0%포인트(p) 올랐다. 이는 2019년(11.4%) 이후 첫 상승세다.
'기타 기관 등'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우체국·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기관을 제외한 기타 여신업체다.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제도권 내 마지막 창구인 셈이다.
반면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 돈을 빌린 차주 비중은 78.8%로 지난해(79.8%)보다 1.0%포인트 하락했다.
저축은행과 우체국·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기관 대출 가구주 비중도 지난해보다 각각 0.2%포인트씩 하락한 3.8%, 8.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금리가 오르자 저축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이 신용대출 규모를 줄였고 결국 제도권 내 마지막 창구인 대부업으로 신용대출 수요가 이동한 것으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