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윤성균 기자] 국민의힘이 대선 후보 교체 시도 무산 이후 심각한 후폭풍에 휩싸였다. 후보 지위를 회복한 김문수 후보는 통합을 내세워 갈등 봉합에 나섰다.

1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김 후보는 후보 선출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취소하고 단일화 논의가 무산됐던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만나 선대위원장직을 제안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권성동 원내대표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자료=연합뉴스)

김 후보는 “과거 생각의 차이는 뒤로 하고, 이제 화합과 통합의 시간”이라며 “더 화합하고 우리 당뿐만 아니라 폭을 더 넓게 해서 광폭의 빅텐트를 통해 국민을 통합하고 국민 의사를 수렴하는 것이 중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이에 발맞춰 친윤계 의원들도 당내 단합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발표했다.

윤상현 의원은 “우리가 나눈 이견은 모두 대선 승리를 향한 간절한 열망에서 비롯된 것이다. 분열은 필패다. 덧셈정치를 하자”고 말했다. 추경호 의원도 “이제 모든 갈등을 뒤로 하고 새로이 출발해야 할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비주류 특히 친한(친한동훈)계를 중심으로 지도부 책임론과 추가 사퇴 요구가 거세게 제기됐다. 한동훈 전 대표는 후보 교체 사태를 “친윤 당내 쿠데타”로 규정하며 “친윤 쿠데타 세력에게 제대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친한계 의원 16명은 성명서를 통해 “비대위는 무리한 결정으로 당원과 지지자에게 큰 실망과 상처를 줬고, 무엇보다 대선에 큰 악재를 만들었다”며 “이번 사태에 깊이 관여해온 권성동 원내지도부의 동반 사퇴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도 “대선 경선판을 혼미하게 한 책임을 지고 권영세, 권성동과 박수영, 성일종은 의원직 사퇴하고, 한덕수 배후 조종 세력들도 모두 같이 정계 은퇴하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