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은 의약품 관세 부과 가능성 관련 최적의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고 알렸다.(자료=연합뉴스)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우리나라 제약·바이오 기업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발 '관세 리스크'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이날 홈페이지에 게시한 글에서 "의약품 관세 부과 가능성과 관련해 최적의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올해 미국에서 판매 예정인 회사 제품에 대해 1월 말 기준 약 9개월분의 재고 이전을 완료했다"며 이를 통해 미국 내 판매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했다고 했다.

또 관세 부과 시 완제의약품보다 세 부담이 적은 원료의약품 수출에 집중하고 있다며 "필요시 현지 완제의약품 생산을 지금보다 더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취임 연설에서 반도체, 철강 등 품목과 함께 외국에서 생산된 의약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언급했다.

이달 13일(이하 현지시간)에는 각국이 미국 상품에 적용하는 관세율만큼 미국도 상대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18일에는 의약품 관세에 대한 질문에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 외 다른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도 관세 리스크에 대비하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위탁생산 업체 변경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는 캐나다 소재 위탁생산(CMO) 업체 등을 통해 미국에 수출된다.

자체 공장을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위탁생산을 이용하는 만큼 향후 캐나다에 대한 관세 부과가 확정되면 미국 현지 CMO 업체를 이용하는 등 조치를 검토하겠다는 방침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대웅제약도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이에 대비 중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정부 관세 정책의 영향은 기업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관측된다.

유한양행은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의 경우 얀센에서 생산·유통된다"며 "완제의약품을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이면 관세 타격이 클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리스크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해 유한양행은 얀센에 렉라자의 글로벌 개발·판매 권리(국내 제외)를 12억5500만 달러(약 1조8000억원)에 기술 수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