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편의점에서 로또를 구매하기 어려워질 전망이다 (사진=오세영 기자)
[한국정경신문=오세영 기자] 앞으로 CU나 GS25 등의 편의점에서 로또를 구매하기 어려워 질 전망이다. 정부가 편의점 법인 본사에 부여된 로또 판매권을 회수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았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9일 제123차 복권위원회를 열고 '로또 편의점 법인 판매권 회수 방안'을 확정했다고 13일 밝혔다. '로또 편의점 법인 판매권 회수 방안'이란 편의점 법인 본사에 부여된 로또 판매권을 3년동안의 유예기간을 준 뒤 회수한다는 내용이다.
기재부는 "복권 판매인을 모집할 때 취약계층을 우선시하는 복권법 입법취지를 고려한 조치"라며 이같은 방안을 마련하게 된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현재(10월 말 기준) 온라인복권 판매점의 유형별 현황을 보면 총 6305개의 판매점 가운데 편의점이 차지하는 비율은 34.2%(2361개)다. 이 가운데 개인이 판매권을 부여받아 판매하는 편의점(1757개)은 회수대상이 아니므로 계속 판매가 가능하다.
기재부가 지정한 회수 대상 판매점은 편의점 법인본사가 판매권을 부여받아 가맹점주와 계약을 통해 복권을 판매하는 604개의 편의점이다. 특히 대상 편의점 604개 가운데 가맹점주와 계약을 하지 않고 법인이 직접 판매하는 8개의 판매점은 오는 12월 1일부로 로또 판매 계약이 종료된다.
단 이번 '법인 판매권 회수 결정 방안'에 따르면 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추가 온라인복권 판매점 모집이 가능해진다. 기재부는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기재부는 "'적정 판매점수 산정 연구용역' 추진 및 복권위원회 의결을 거쳐 이르면 다음해부터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온라인복권 판매점을 모집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