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정경신문=우용하 기자] 정부가 브라질산 닭고기 공급 중단에 따른 수급 문제가 제기되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미발생 지역에서 닭고기를 수입하기로 했다.

닭고기 수입 업체의 재고 물량은 시장에 방출하도록 독려하고 국내산 닭고기 공급도 확대한다.

정부가 닭고기 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I 미발생 지역에 대한 브라질산 닭고기를 수입하기로 결정했다. (자료=연합뉴스)

2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내용의 닭고기 수급 방안을 밝혔다.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중단으로 닭고기 수급이 우려되자 조치를 내린 것이다.

앞서 정부는 브라질 종계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하자 지난 15일 선적분부터 브라질산 가금육과 가금 생산물의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지난해 우리나라가 수입한 브라질산 닭고기는 15만8000t으로 전체 수입량의 86.1%에 달한다. 작년 국내 닭고기 소비량의 20%에 해당하는 규모다.

브라질산 닭고기는 국내산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보통 순살로 수입된다. 이에 많은 프랜차이즈업체가 사용하고 있다.

정부는 수급 불안을 완화하기 위해 브라질 내 AI 미발생 지역에서 생산한 닭고기의 수입을 허용했다. 닭고기 수입을 조속히 재개하기 위한 수입위험평가와 양국 간 협의도 진행할 예정이다. 대신 수입 물량이 실제 AI 미발생 지역에서 생산됐는지 여부와 브라질의 방역·위생 관리 상황을 확인하는 등 검역 역시 강화된다.

이와 함께 닭고기 수입업체가 보유한 재고물량을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금지 기간에 시장에 방출하도록 독려할 방침이다. 납품단가 인상도 자제하도록 관련 유통업체와 협회에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국내 육계기업과 함께 국내산 닭고기 공급 역시 확대한다.

우선 업체별로 병아리 사육을 늘린다. 64주령 이상 육용종계에 대한 종란 생산 금지는 지난 22일 해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