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자살예방연구·실천네트워크가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새 정부를 위한 자살예방 정책과 공약 제안’을 주제로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자료=KASPR)
[한국정경신문=서재필 기자] 한국자살예방연구·실천네트워크가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새 정부를 위한 자살예방 정책과 공약 제안’을 주제로 정책 포럼을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정을호 국회의원과 공동 주최로 마련됐으며, 학계·의료계·시민사회 전문가들이 참여해 구조적이고 실효성 있는 자살예방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김현수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발제에서 “자살률 감소에는 법칙이 있었다”고 강조하며 핀란드, 영국, 일본 등 자살예방 선도 국가의 정책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핀란드의 심리부검 기반 정책, 영국의 치료 접근성 강화, 일본의 지역 맞춤형 통계 연계 계획 등을 언급하며 “한국도 총체적 개입 시스템과 법제화를 통해 정책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이어 자살예방을 위한 핵심 전략으로 ▲강력한 국가 리더십 및 예산 확보 ▲유족·지역 공동체 기반 조직화 ▲전문가 팀 구성 ▲고위험군 전략적 관리 ▲전 부처 협업 체계 △우울 선별 포함한 적극적 공공 캠페인 등 6가지를 제안했다.
또한 교육 체계 내 자살예방 리터러시 강화를 강조하며 “중·고등학교와 대학에서 자살예방과 정신건강에 대한 교육과 활동이 필수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정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는 “자살은 다학제적 접근이 필요한 사회 구조적 현상”이라며 자살 원인에 대한 문화적·경제적 분석과 실증조사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박건우 서울대병원 교수는 보건정책 측면에서 자살위기 대응의 공공 시스템화를 강조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이수비 대진대 교수, 주상현 정신보건노조 지부장, 서청희 경기화성아동청소년 건강복지센터장, 주지영 서울시자살예방센터 팀장이 현장 중심의 실천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유족 지원, 실무자 번아웃 대응, 지역 간 자원 격차 해소 등이 과제로 꼽혔다.
정을호 의원은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적 구조의 문제로, 국가가 책임져야 할 사안”이라며 “새 정부는 자살예방 컨트롤타워 설치와 실효성 있는 종합 대책 마련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포럼을 주최한 한국자살예방연구·실천네트워크(KASPR)는 자살예방 분야의 학자, 실천가, 정책가들이 참여한 민간 싱크탱크로 지난 5월 공식 출범했다.
KASPR는 과학적 근거와 현장 경험에 기반한 자살예방 정책 제안과 실천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